부동산 부동산일반

강남 하수관 한강변 연결하고 광화문 원활한 배수시스템 시급

[중부 물폭탄] ■ 강남·광화문 물난리 해법은


강남 하수관 한강변 연결하고 광화문 원활한 배수시스템 시급 [중부 물폭탄] ■ 강남·광화문 물난리 해법은 윤홍우기자 seoulbird@sed.co.kr 김경미기자 kmkim@sed.co.kr 대한민국의 심장부라 할 수 있는 서울 광화문과 강남역 일대의 침수사태를 계기로 '이상기후'에 대비해 낡은 도시계획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번 비가 기록적인 폭우이고 강남역 인근이 저지대여서 침수가 불가피했다는 주장도 있지만 선제적인 방재 정책을 도입해 도시계획을 정비해왔다면 피해를 훨씬 줄일 수 있었다는 것이다. 특히 광화문의 경우 지난해 추석 폭우로 한 차례 물에 잠겼던 '전력(前歷)'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가 배수시설 공사를 아직까지도 제대로 완료하지 않아 피해를 다시 키웠다는 지적이다. 28일 서울시와 관련 학계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내 배수시설은 대부분 10년 강우 빈도 기준인 시간당 75㎜로 설계돼 있다. 설계 강우 빈도가 10년이라는 것은 10년에 한 번 오는 폭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는 얘기다. 그러나 지난 27일 서울 지역에서 시간당 최대 113㎜ 이상의 폭우가 쏟아지며 배수처리 능력이 포화상태에 달하자 저지대인 강남역 일대는 순식간에 물바다가 되고 말았다. 서울시는 2007년 '수방시설능력향상 4개년 계획'을 발표하면서 설계 강우 빈도를 30년 수준(시간당 95㎜)으로 높이겠다고 밝힌 바 있지만 실제 이 작업이 시작된 곳은 찾기 힘들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현실적ㆍ경제적인 문제로 서울 전역에 이를 도입하는 데는 다소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지구 온난화 등으로 이상기후가 점차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앞으로는 지방자치단체 행정의 초점이 방재 시스템 정비에 최우선으로 맞춰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방재 시스템이 없을 때부터 자연적으로 탄생한 강북 등 구도심은 지형적으로 자연 배수 시스템이 갖춰져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버려진 땅을 개발한 강남과 같은 신도심의 경우 더욱 탄탄한 방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윤명오 서울시립대 방재공학과 교수는 "예전에는 어제와 같은 폭우가 100년에 한 번 있을 만한 천재지변이었지만 지금은 이상기후로 매년 일어날 수도 있는 일이 돼버렸다"며 "과거에는 충분하다고 생각했던 도시의 배수용량을 재점검해 큰 폭으로 늘려야 하고, 특히 이번에 물에 잠겼던 강남 지역은 앞으로도 상습적인 침체지역이 될 것이 분명하므로 재정비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방재전문가인 조원철 연세대 교수도 이날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저지대인 강남의 상습 침체를 막기 위해서는 한강변에 있는 대형 차집관로(遮集管路ㆍ빗물이나 하수를 막아 모으는 관)까지 대형 도수관로(導水管路ㆍ물이 흐르는 관)를 묻어야 되는데 예산이 많이 들고 정치적으로 생색나는 과업이 아니다 보니 10년ㆍ20년 가까이 미뤄졌다"며 지자체 행정을 비판했다. 한편 배수시설보다는 겉으로 보이는 디자인 등 '멋'에 신경을 쓴 전시행정형 도시계획도 문제로 꼽히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의 한 관계자는 "광화문의 경우 광화문 광장 조성 과정에서 인근 도로가 포장됐을 뿐만 아니라 화강석 보도 아래까지 시멘트로 마감해 물을 흡수할 수 없는 부분이 크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가 '여행(여성행복)' 프로젝트 등을 시행하면서 하이힐이 빠지지 않도록 보도와 빗물받이 간격을 지나치게 좁혀놓은 것도 이번 침수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최악의 '물폭탄' 사태… 어쩌다 이지경까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