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보철강 부도2년] 직원들 "회생 언제나..."

23일로 한보철강이 부도를 내고 쓰러진지 2년이 된다.21일 한보철강 당진 제철소와 서울사무소의 부장급 이상 간부들이 모두 자리를 비웠다. 대부분의 직원들도 일손을 놓고 있었다. 이날 한보철강 간부들은 회사가 아닌 여의도 국회 경제청문회장으로 출근을 했다. 환란의 주범으로 다시 한번 심판대에 서게 된 것이다. 한보는 삼미와 기아, 진로 등 대기업들의 잇단 부도사태를 촉발, 국제 통화기금(IMF)구제금융 신청이라는 국가위기를 초래하는 단초를 제공했다. 뿐만아니라 「한보특혜비리사건」을 통해 홍인길(洪仁吉)전 청와대 총무수석등 실세 정치인들과 대통령의 아들까지 구속되는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오기도 했다. 이같은 파장은 2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번 경제청문회가 김영삼(金泳三)정부까지 겨냥하고 있어 한보 특혜대출이 또다시 청문회에서 태풍의 눈으로 떠오르고 있다. 「꿈의 제철소」를 건설하겠다는 정태수(鄭泰守)씨의 야욕은 결국 사회 경재적인 엄청난 파장과 함께 8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부담을 은행권과 국민들에게 떠넘긴채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A지구의 철근 공장만이 60%의 가동율을 보이고 있으며 코렉스설비는 90%가량의 공장 진척 상태에서 멈춰선채 새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한보 사태는 지역경제의 몰락도 초래해 제철소 건설로 들떠있던 당진지역도 된서리를 맞았다. 당진군은 한보부도이후 지방세 218억원을 비롯해 각종 국세 600억원을 받지 못해 파산직전의 상태에 놓여있다. 김낙성(金洛聖)당진군수는 『한보철강의 정상 가동을 충남도와 중앙정부에 진정도 하고 건의도 했지만 2년동안 별다른 진전이 없어 애만 태우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히고 『당진제철소가 정상 가동되면 3,000여명 고용 창출 효과가 기대되는 등 어려움에 처한 지역 경제가 되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같은 기대와는 달리 한보철강 처리문제는 여전히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8조원에 달하는 한보철강의 부채를 떠안고 있는 채권단으로서는 보다 많은 금액을 받아내려고 이런 저런 방법들을 마련하고 있지만 선뜻 이를 사겠다는 업체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처럼 한보 처리문제가 난항을 겪고 있는 것은 철강업체들이 당진제철소의 자산가치와 경제성에 대해 회의적 평가를 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한보철강은 부도직전인 96년말까지 자기자본의 32배에 달하는 6조2,000억원에 달하는 거금을 은행권으로부터 특혜 대출 받아 당진제철소에 쏟아 부었다. 그러나 3조5,000억원을 들여 건설한 B지구의 코렉스 설비에 대해 국내 철강업체들은 대부분 경제성이 없다고 보고 있다. 채권단은 철근과 열연공장이 들어선 A지구와, 코렉스설비를 갖춘 B지구의 일괄 매각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들 설비를 모두 가동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업체는 어디에도 없는 실정이다. 가장 적극적인 인수 의사를 보이고 있는 동국제강도 A지구는 가동하되 B지구의 일부 설비는 매각하겠다는 방침이다. 결국 막대한 자금을 투입한 한보철강의 실제 자산 가치는 2조원에도 크게 못미친다는 것이 철강업계의 평가다. 2조원이상을 받아야 겠다는 채권단의 입장과 1조원선에서 이를 인수하려는 인수희망업체들의 신경전이 거듭되면서 한보처리문제는 여전히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한보철강 문제는 공급 과잉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국내 철강업계 구조조정의 시발점이 된다는 점과 시간이 흐를수록 국민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하루빨리 종결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보비리에 대한 철저한 규명과 함께 한보철강에 대한 공개적이고 투명한 처리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이훈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