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어음부도율 한국,일의 2.4배/한은 「한·일간 부도율 비교」

◎80∼95년 연평균 0.114%/90년 0.04%서 95년 0.20%로우리나라의 어음부도율이 일본의 2.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한일간 어음부도율 국제비교」에 따르면 지난 80∼95년 한국의 평균 어음부도율(전자결제 조정전 기준)은 0.114%로 일본의 0.047%를 크게 웃돌았다. 연도별로 보면 우리나라는 90년 어음부도율이 0.04%로 가장 낮았으나 95년에는 5배인 0.20%로 껑충 뛴 반면 일본은 90년 0.02%에서 95년에는 3배인 0.06%로 상승하는데 그쳤다. 92년에는 한국과 일본 모두 0.06%로 같았으나 이후 격차가 확대됐으며 일본은 0.1%이하를 항상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96년에는 0.17%로 전년보다 0.03%포인트 떨어졌으나 올들어 한보·삼미 등 대기업의 잇단 부도와 경기침체에 따른 중소기업의 자금난 심화 등으로 부도율이 0.26∼0.30%를 기록하는 등 사상 최대규모의 부도사태가 지속되고 있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어음부도율이 일본보다 크게 높은 것은 국내기업의 재무구조가 그만큼 취약하다는 사실을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연구원은 차입 위주의 경영으로 부채비율이 높은 국내 기업은 경기침체시 파산 가능성이 높고 금융기관의 부실화 등으로 금융제도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치며 인원정리 등에 따른 사회적 충격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손동영>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