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1년 9월15일 오후3~8시 발생한 국지적 블랙아웃 사태가 발생한 지도 벌써 3년이 지났다. 당시 전력망 전체가 블랙아웃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한국전력거래소는 전국을 구역별로 나눠 순환 정전을 실시했다. 이날 5시간 정전으로 전국 735만5,000여가구가 피해를 입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1,757만가구)의 43%에 달한다.
전기부족 막으려면 원전 포기 못해
일반적으로 블랙아웃은 지진·해일 같은 자연재해와 전력수요 예측 실패로 인한 전기부족, 전력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일어난다.
특히 블랙아웃은 전체 전력망을 구성하는 일부분이라도 블랙아웃 현상이 발생하면 연결된 부분을 통해 차례로 확산되며 전체 전력망을 중단시키기 때문에 미리 대비하지 않는다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블랙아웃을 막기 위해 전력망에 안정성을 확보하고 설비점검과 신규 발전시설 등 건설을 통한 전력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2011년 블랙아웃 사태 원인도 정부의 전력수요 예측실패로 인한 전기공급 부족사태가 그 원인으로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전기부족 사태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전력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발전소 건설이 최적의 방법이다.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에너지 다소비 국가 중의 하나로 다른 재생에너지 선진국처럼 에너지 다변화를 꾀하기도 어렵고 매년 예상을 넘는 에너지 수요로 인해 상업성이 낮은 다른 에너지원을 찾기도 쉽지 않다.
현재 가장 전력효율이 가장 높은 발전원은 원자력이다.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 원자력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3년 현재 26%대를 유지하고 있다. 2013년 정부자료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은 kwh당 발전원가가 47.9원으로 다른 에너지원인 석탄 62.4원, LNG 119.6원에 비해 저렴하며 이산화탄소 배출에 있어서 화석연료보다 훨씬 유리하다.
하지만 2011년 3월11일 발생한 일본의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원자력발전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들이 증가하고 국민들의 원전 불신이 늘어나면서 원전 개발에 대한 세간의 평가는 그렇게 호의적이지 않다. 정부가 지속적인 안전 분야에 대해 대책수립과 시설확충을 통해 국민들의 우려를 불식시키려 노력하고 있지만 원전건설과 처리시설 개발에서 여전히 사회적인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안전성 담보 정책으로 우려 불식시켜야
세계적으로 한국형 원전이 인정받는 가운데 가장 현실적인 블랙아웃의 대안인 원자력 발전을 포기하는 것은 앞으로 국가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실제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자력발전을 중단한 일본은 올해 전력예비율이 4.6%에 불과해 블랙아웃을 걱정해야 하는 위급한 상황이다. 국민들의 신뢰를 심어줄 수 있는 원전 정책과 안정성에 대한 확실한 담보와 운용, 그리고 전력수요에 부응하는 단계적 발전소 건설을 통해 국가 에너지 수급의 대계를 세워 블랙아웃 공포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