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깊어지는 보험사 경영난… 금융당국 실타래 푼다

공동 TF 구성… 경영전략·정책방향 등 논의

서울경제신문이 시리즈를 통해 분석한 보험사의 경영난과 관련, 금융당국이 본격적으로 대응에 나섰다.

최근 저금리 기조가 심화되면서 보험사들이 자산운용 수익을 내기 어려워지자 금융당국이 역마진 문제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보험사 등과 공동으로 태스크포스(TF)를 꾸린 것이다. TF에서는 보험사 경영전략, 자산운영전략, 손익영향, 감독정책 방향 등을 논의하는 등 저금리 대처와 관련한 작업에 들어간다.


8일 금융당국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보험사 역마진 대응책 논의를 위한 첫 TF 회의를 열고 활동에 들어갔다.

TF에는 금융당국은 물론 삼성생명 등 업계 8개사와 보험협회의 실무자들과 민간 전문가가 참여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일본에서 지난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 저금리 역마진으로 7개 생보사가 파산한 전력이 있다"며 "저금리 리스크가 높아지는 시장 환경에 맞춰 보험사의 경영전반을 살펴볼 필요가 있어 TF를 만들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까지 역마진이 발생할 정도는 아니지만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있어 이런 추세라면 역마진이 현실화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실제 현재 보험사들의 자산운용수익률은 4.5~5%선으로 각 회사들이 판매하는 상품의 공시이율과 엇비슷한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과거 보험사들이 판매한 10% 수준의 고정금리 상품이 전체 상품의 대략 30%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점도 부담이 되고 있다.

최근 금융당국이 자본확충과 관련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도 리스크 관리 차원이다.

지급여력을 높이기 위해 위험기준자기자본(RBC) 비율을 내년까지 순차적으로 강화하도록 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미 상당수 중소형사들이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본확충에 나서고 있다.

한편에서는 이런 규제가 저금리 대처를 어렵게 만든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RBC 비율 규제가 한층 강화되면서 투자처가 더 보수적으로 한정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금융당국도 현실에서 나타나는 이런 문제에 대해 보다 유연하게 대처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말했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