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민연금, 해외 투자 길 열렸다


기금 규모가 300조원을 훌쩍 넘은 국민연금이 공기업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과 손잡고 해외투자에 나설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이를 위해 분야별로 구성된 전문가들에게 사전에 자문을 받도록 하는 등 리스크 관리 장치도 마련된다. 보건복지부는 24일 2011년도 제1차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를 열고 자원투자 경험과 신용도가 높은 국내 우수 민간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외자원개발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해외자원개발 투자계획 변경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국민연금은 대체투자 다변화 차원에서 인플레이션 헤지와 포트폴리오 분산 효과가 있는 해외자원개발 투자를 추진해왔으나 모호하고 까다로운 규정 탓에 실제 투자로 이뤄지지 못했다. 지난 2007년 12월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등 3곳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10년간 20조원을 해외자원에 개발하기로 했으나 2년간 실적이 없어 MOU가 폐지됐다. 이에 따라 이날 위원회는 기존에 생산단계로만 규정된 투자대상을 동일 광구 내에서 생산과 탐사ㆍ개발이 병행되는 경우도 포함토록 했다. 하지만 지금처럼 생산 전 탐사ㆍ개발단계는 투자 위험이 커서 제외된다. 또 민간기업의 에너지 투자 확대에 따른 공동투자 기회를 만들기 위해 자원공기업 외에 민간과도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있도록 했다. 국내신용등급이 A등급 이상이고 자원개발ㆍ투자 업력이 3년 이상인 국내 기업에 한해 투자할 수 있도록 했고 목표수익률, 투자한도 등을 설정해 투자 안정성 장치를 마련했다. 아울러 투자대상이 되는 해외자원기업은 연간 매출액 3억달러 이상 또는 영업이익 5,000만달러 이상인 기업으로 자원투자 업력이 5년 이상 기업으로 정해 리스크를 줄이기로 했다. 오진희 복지부 국민연금재정과장은 “안정성을 보강해 보다 적극적으로 해외자원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이라며 “국민연금은 재무적 투자자로 믿을 수 있는 파트너와 함께 투자대상을 찾아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위원회는 이날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위원회의 의사결정을 보좌하는 ‘투자정책전문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 위원회는 기금운용 및 금융, 대체투자, 해외투자, 자원개발 등 4개 전문 분야별로 5~10명씩 총 30명 내외의 인력풀을 구성하고, 실무평가위원회 위원 1인과 민간전문가들이 함께 기금의 투자 방향 설정 등 정책적 판단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전문적 검토와 자문을 할 계획이다. 한편 국민연금의 지난해 10.38%의 운용수익률과 30조1,408억원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국민연금기금의 순자산은 지난해 말 기준 323조9,908억원으로 전년보다 46조3,484억원(16.7%) 증가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