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금융회사들 '깊어지는 고민'

우리금융 인수전 투자 참여 어떻게…<br>"정부, PEF 매각에 확답땐 참여"


"사모펀드(PEF)로의 매각이 된다는 정부 방침이 확정만 되면 참여한다." 우리금융 인수전에 뛰어든 PEF들로부터 전략적투자자(SI)나 재무투자자(FI)로 참여해줄 것을 구애받고 있는 금융회사들은 요즘 고민이 많다. 참여조건 등이 까다로워서가 아니다. 그들에게 더 관심은 정부의 입장이다. PEF에 대한 부정적 여론은 그렇다 치더라도 입찰이 계속되고 있지만 정작 금융 당국의 속내를 도무지 알 수가 없다는 얘기다. 원매자들은 이 때문에 우리금융을 PEF로 넘길 것인지 당국이 하루빨리 '확답'을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보고펀드로부터 SI 참여를 요청받은 한국투자금융지주의 한 고위관계자는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지만 관건은 정부가 PEF로의 매각을 결정했는지가 가장 중요한 판단요소"라고 말했다. PEF로부터 인수 참여 요청을 받은 지방은행의 한 관계자도 "곧 최종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면서도 "PEF로 팔 것인지에 대한 정부의 입장이 서지 않은 상태에서 무턱대고 들어갈 수 없는 상황이어서 여러 루트를 통해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권이 정부의 입장을 기다리는 것은 자칫 괜한 헛수고만 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로 부산ㆍ대구은행은 PEF에 참여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다. 차후 경남은행을 분리매각할 때 주도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PEF에 참여했다가 인수도 못할 경우 "펀드와 결탁해 '경남의 상징 금융회사'를 빼앗으려 한다"는 욕만 먹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다른 지방은행의 한 고위관계자는 "헛수고는 그렇다 치고 자칫 경남 지역의 정치권 인사나 여론의 눈 밖에 나는 것 아니냐는 것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분위기에도 정작 당국은 PEF로의 매각 여부에 신중하다. "PEF가 제출한 예비입찰서류를 보고 인수 자격을 판단하겠다"는 원칙을 반복한다. 한 고위당국자는 "예비입찰서류를 까다롭게 요구하고 있다"면서 "자금심사는 보수적이고 엄격하게 할 것이고 누가 봐도 수긍할 기준을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입찰안내서를 통해 유한책임투자자(LP)들로부터의 투자의향서는 물론 투자금액, PEF 컨소시엄 구성, 배당 규모, 경영진 구성, 인수 후 투자기한도 명확하게 나타내도록 했다. LP들이 PEF에 중복투자하는 것도 금지했다. PEF에 넘기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의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MBK파트너스와 보고펀드ㆍ티스톤 등은 오는 17일까지 예비입찰제안서를 제출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