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계속되는 허리 통증… 비(非)수술 치료로 통증 원인 잡아낸다

신경성형술에 내시경, 레이저 기능 더해 병변 정확하게 파악


허리디스크로 병원을 찾아 척추 수술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없어지지 않아 고생하는 환자들이 많다.

허리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에 위치해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크(추간판)가 제 자리에서 밀려나와 발병하는 질환으로 ‘추간판탈출증’이라고도 한다. 탈출한 디스크가 주변의 신경을 눌러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통증은 허리에서부터 시작되어 엉치와 허벅지, 종아리로 뻗어나가는데 특히 허리를 숙이거나 앉을 때 통증이 심해지는 특징을 보인다. 시간이 지나면 감각 이상을 초래하여 하반신 마비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그런데 이 같은 통증을 없애기 위해 척추 수술을 받았음에도 통증이 계속되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통증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인데, 최근 경막외내시경레이저시술이 이러한 수술 후 통증을 잡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경막외내시경레이저시술, CT나 MRI보다 정확한 진단


경막외내시경레이저시술은 내시경이 부착된 지름 2mm의 가느다란 관을 꼬리뼈 부분으로 집어 넣어 척추를 들여다보며 치료하는 방법이다. 기존 신경성형술에 내시경과 레이저의 기능을 더해 진단의 정확성과 치료의 효율성을 높였다.

관련기사



서울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세바른병원 강남점의 김주현 대표원장은 “경막외내시경레이저시술은 시술 시 내시경을 활용하므로 MRI로도 찾지 못한 병변까지 알아내는 정확성을 자랑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허리디스크로 수술을 받은 후 추가적으로 치료가 필요한 환자,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요통이나 척추관협착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효과가 높다”라고 덧붙였다.

통증을 유발하는 염증, 부종, 신경 유착, 디스크 탈출 등의 요인을 확인한 후에는 레이저와 약물을 이용하여 쉽게 제거한다.

경막외내시경레이저시술은 국소마취 하에 꼬리뼈 부위에 카테터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므로, 기존에 디스크 수술을 했던 환자도 부담 없이 시술을 받을 수 있다.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은 30분 내외로 짧으며 당일 퇴원도 가능하다.

그러나 허리디스크는 언제든 재발할 가능성이 있는 질환이므로, 평소 척추관리에 힘써 질환 자체를 예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무거운 물건을 갑자기 들어 올리거나, 의자 등받이에 지나치게 기대 앉는 행동은 지양해야 한다. 또한 1시간 이상 오래 앉아있을 경우에는 10분 가량 스트레칭으로 허리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진=세바른병원 강남점 김주현 대표원장).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