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들끓는 공무원 연금개혁 논란] 공무원 명퇴 바람 확산되나

"연금법 개정땐 손해 보는 금액 적지 않아"

올 교원 명퇴 신청 2.2배 급증

정년 2~3년 앞둔 상당수 고민

공무원 연금 개혁이 추진되면서 공무원 사회에서 명예퇴직 바람이 확산되고 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소속 윤관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28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전·후반기 명퇴 신청 교원은 전국적으로 1만3,376명이었으나 명퇴가 받아들여진 교원은 5,533명으로 41.3%에 그쳤다고 밝혔다. 윤 의원에 따르면 명퇴 신청 교원은 2010년 3,911명에서 2011년 4,476명, 2012년 5,447명, 2013년 5,946명 등으로 해마다 늘었으며 특히 올해는 지난해의 2.2배로 급증했다. 윤 의원은 이처럼 교원 명퇴 신청자가 늘어난 이유에 대해 "정부의 연금법 개정에 따른 연금 삭감 움직임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명퇴 신청이 폭주하면서 명퇴 수용률은 크게 떨어지고 있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교원 명퇴 수용률은 2010년 92.5%, 2011년 87.1%, 2012년 88.2%, 2013년 90.0%였으나 올해는 명퇴신청이 급증하면서 수용률이 41.3%로 지난해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명퇴 대란은 교원을 넘어 경찰 등 공무원 사회로 확산되고 있다. 경찰은 올해 8월까지 명퇴를 신청한 사람이 1,573명이라고 밝혔다.

명퇴 신청 바람은 공무원 연금 개혁으로 정년을 채우는 것보다 일찍 퇴직하는 것이 오히려 유리해졌기 때문이다. 정부 부처의 한 관계자는 "정년을 2~3년 앞둔 사람들 가운데 상당수가 명퇴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며 "실제로 연금 개혁이 이뤄지면 손해 보는 금액이 적지 않기 때문에 더 일하고 싶어도 노후를 생각하면 일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