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알츠하이머 환자 사망률 정상인보다 2배 높아

한강성심병원 3,813명 추적조사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사망률이 정상인에 비해 두 배가량 높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한림대한강성심병원 정신과 서국희 교수팀은 대한노인병학회 치매연구회와 공동으로 국내 15개 대학병원에서 지난 1999년부터 2003년 사이 정신과 치료를 받은 환자 3,813명을 알츠하이머병 유무와 약물처방 여부로 나눠 2004년 말을 기준으로 사망률을 추적 조사한 결과를 20일 밝혔다. 분석 결과 연구기간에 추적 대상자의 11%(3,813명 중 421명)가 사망했으며 이중 알츠하이머병을 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로 치료받은 환자군의 사망률이 13.1%로, 알츠하이머병이 있지만 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로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환자군의 사망률 15.4%보다 다소 낮았다. 반면 알츠하이머병이 없는 정상군의 사망률은 알츠하이머병 그룹의 절반 정도인 8.6%에 그쳤다. 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는 뇌신경 세포 손상으로 부족해진 신경전달 물질(아세틸콜린)이 뇌에서 분해돼 없어지는 것을 막는 종류의 치료약물이다. 서 교수는 "알츠하이머병에 걸리면 사망률이 정상인의 두 배 정도로 높아지지만 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계열의 약물을 사용하면 그나마 사망률을 다소 낮추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이번 분석결과를 보다 의미 있게 검증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추적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미국노인정신의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