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아시아인 비만 지수 따로 만들어야"

서울의대 "서양 기준 비만 해당돼도 사망률은 낮아" 논문

통상 비만도를 나타내는 체질량지수(BMI∙자신의 체중(㎏)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23~25 이상이면 과체중이나 비만으로 분류돼 건강에 좋지 않다는 권고를 받지만 한국인의 경우 BMI가 22.6~27.5일 때 사망할 확률이 가장 낮다는 대규모 역학조사(코호트)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이는 비만도가 높을수록 사망확률이 높다는 전제하에 만들어진 서양비만기준이 동양인에 맞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인의 과체중과 비만기준을 정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유근영∙강대희∙박수경 교수팀은 '아시아 코호트 컨소시엄'을 구성해 한국인 2만명을 포함한 아시아인 114만명을 대상으로 지난 2005년부터 평균 9.2년을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코호트에는 한국∙일본∙중국 등 아시아 7개국이 참여했다. 이 연구논문은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임상의학 분야의 세계최고 권위지로 꼽히는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 최근호에 실렸다. 비만의 기준은 현재 나라별로 조금씩 다른데 아시아에서는 BMI가 25이상이면 '과체중',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하고 있다. 대한비만학회의 경우는 이보다 더 엄격해 BMI가 23 이상이면 과체중, 25를 넘으면 비만, 30 이상은 고도비만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를 보면 아시아인 중에서도 특히 한국∙중국∙일본 사람들은 BMI가 22.6~27.5일 때 사망할 확률이 가장 낮았다. 이는 기존 기준치로 볼 때 비만에 해당하는 BMI지수를 가진 사람일지라도 실제 사망위험은 크지 않았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유 교수는 "비만이 당뇨병이나 심장병∙대장암∙전립선암 등의 서구형 암 위험을 높이는 것은 사실이지만 인종 간 차이를 고려할 때 기준치는 새롭게 정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강 교수는 "최근 비만에 대한 논의가 상업적 측면과 과도하게 연계되면서 인종별 특성을 고려한 코호트 연구조차 없이 비만기준이 정립된 측면이 있다"면서 "이번 연구결과가 국내 비만기준을 새롭게 정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