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남북, 백두산화산문제로 29일 만난다

백두산 화산문제가 막힌 남북간의 대화에 물꼬를 틀 모양이다. 비록 민간전문가차원의 협의지만, 대화의 진행에 따라서는 남북 당국자간 협의로도 발전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통일부는 24일 “북측이 백두산 화산활동과 관련한 우리 측 수정제의에 동의한다는 지진국장 명의의 통지문을 우리 기상청장 앞으로 오늘 보내왔다”고 밝혔다. 당초 백두산 화산문제 논의를 위해 북한이 남북 당국간 협의를 갖고 제의를 했고, 우리측은 ‘민간전문가’ 협의로 수정해 제의를 했는데, 북한이 이를 수용하면서 29일 개최된다. 장소는 우리측이 제의한대로 경기도 문산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에서 열린다. 북측은 이날 판문점 적십자채널을 통해 보내온 통지문에서 화산연구소 부소장을 비롯해 대표 3명, 수행원 2명 등을 내보낼 것이라고 통보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 화산연구소는 민간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우리 측 민간 전문가들 가운데 5명 안쪽의 대표단을 선정하고 협의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북측은 앞서 지난 17일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와 현지답사, 학술토론회 등 협력사업을 추진시켜 나가기 위한 협의를 진행하자고 통지문을 보내왔었다. 이에 대해 정부는 22일 “백두산 화산활동과 관련, 남북 간 협력 필요성에 공감하며 이에 따라 우선 전문가 간 협의를 오는 29일 우리 측 지역인 경기도 문산에서 갖자”는 내용의 대북 전통문을 보냈다. 민간 전문가 협의로 수정 제의한 것이다. 이번 남북 간 민간협의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도발로 경색된 남북 간 대화 분위기 조성에 일조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북측의 뜻이 백두산 화산 문제에 대한 협의는 물론, 이를 계기로 남북대화를 하자는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북측이 지난달 5일 표류한 북한 주민 31명의 전원 송환을 요구하다 돌연 27명의 부분 송환을 수용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히고 있다. 민간 협의가 잘 진행되면 당국 간 접촉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통일부 당국자는 “전문가 협의 후 당국 간 협의가 필요하거나 승인, 지원이 필요한 사항이 있으면 당국 간 접촉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