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아파트 주간 시세] 5·1대책 불구 서울 5주 연속 하락


정부가 발표한 5ㆍ1부동산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집값은 5주 연속 떨어졌다. 대책의 초점이 건설사 지원에 맞춰진데다, 1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감면 요건 완화 역시 단기적으로 집값을 끌어올리기 어려워 보인다는 게 부동산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8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03% 떨어졌다. 신도시와 수도권도 각각 0.01%씩 하락했다. 서울에서는 ▦강동(-0.09%) ▦강남(-0.06%) ▦송파(-0.06%) ▦양천(-0.06%) ▦강서(-0.05%) ▦노원(-0.01%) ▦성북(-0.01%) 등이 내렸다. 강동구에서는 명일동 삼익그린1ㆍ2차와 길동 신동아1ㆍ2ㆍ3차 및 둔촌동 둔촌주공3단지 등이 단지 별로 각각 500만~1,000만원 가량 하향 조정됐다. 재건축 예정 단지들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나타내면서 인근 아파트까지 하락세가 번지고 있다. 강남구 역시 개포지구 내 재건축 예정 단지 중심으로 1,000만~2,000만원 정도 호가가 떨어졌고 송파구에서는 종상향 재검토 여파에 따라 가락시영아파트가 주택형 별로 1,000만원 가량 내렸다. 신도시도 매매 관망세가 이어지며 집값이 떨어지고 있다. ▦일산(-0.03%) ▦분당(-0.01%)이 내림세를 보였고 평촌ㆍ산본ㆍ중동은 변동이 없었다. 분당ㆍ일산 지역에서는 중대형에 이어 중소형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분당 구미동 무지개주공이 주택형 별로 500만~1,000만원 가량 떨어졌고 일산은 마두동 및 주엽동 일대 아파트가 역시 1,000만원 정도 내렸다. 수도권 거래시장도 전반적으로 한산한 모습이다. ▦성남(-0.05%) ▦부천(-0.03%) ▦용인(-0.03%) ▦구리(-0.02%) ▦시흥(-0.02%) ▦의왕(-0.02%) 등이 내림세를 보였다. 수도권 전세시장은 5월 들어 수요가 크게 줄어든 모습이다. 내림세로 돌아선 곳이 많아 당분간 안정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