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중기, 대기업 MRO사에 '최후 통첩'

"기존 대기업과 거래 유지하되 추가는 안돼"<br>동반성장위서 조정안 통보<br>대기업 MRO社 강력 반발 속 최종 가이드라인 27일 결정


중소업계가 동반성장위원회 산하 MRO(소모성자재구매대행) 실무위원회에서 대기업MRO사들에게 '중소기업과 공공부문, 구매대행을 하지 않고 있는 대기업을 상대로 사업하지 말라'는 내용의 사업조정안을 최종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대기업측은 1차 협력사를 포함시켰던 지난번 중소기업청 조정안 보다 훨씬 강화됐다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고, 중기측은 이마저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위원회를 탈퇴하겠다고 으름장을 놓는 등 양측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이에 따라 19개월간 끌어왔던 MRO가이드라인의 타결여부는 오는 27일 마지막 협상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M19개월만에 MRO 결판날까 =중소기업적합업종 선정과 함께 중소업계의 최대 현안인 MRO 문제가 본격적으로 이슈화된 것은 지난해 4월. 산업용재와 베어링 중소업계가 서브원(LG), 아이마켓코리아(삼성), 엔투비(포스코), 코리아e플랫폼(KeP, 코오롱) 등 대기업 계열 4개 MRO를 상대로 중기청에 사업조정을 신청하면서부터다. 이후 우리사회에 동반성장이라는 화두가 대두되면서 대기업의 전향적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결국 지난 6월초 양측은 '신규 고객사 확장은 대기업 및 대기업 계열사와 1차 협력사에 한정한다'는 조정안에 합의했다. 하지만 중소업계에서 너무 많은 양보를 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8월말 동반위 산하에 MRO실무위원회가 꾸려졌고 사업조정안은 원점으로 돌아갔다. 대기업측에선 4개사 그대로였고, 중소업계는 기존 한국산업용재협회와 한국베어링판매협회외에 한국골판지포장공업협동조합,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이 추가됐다. 양측은 이후 3차례 회의를 가졌지만 이견차는 좁혀지지 않았다. 결국 중기측은 3차 회의에서 마지막 사업조정 가이드라인을 대기업에 최종 통보하기에 이르렀다. 4차 회의는 27일 동반위서 열린다. ◇중소업계 '최후통첩'선언=중소업계가 중기청 사업조정안에 반발한 근본적인 이유는 '1차 협력사'조항 때문이다. 중소업계 관계자는 "대기업과 거래하는 중소기업들은 대부분 1차 협력사"라며 "결국 대기업MRO사들이 기존 중소기업과의 사업을 지속하겠다는 것인데 이게 말이 되는 소리냐"고 반문했다. 결국 동반위 산하 MRO실무위원회 3차 회의에서 중소업계 담당자들은 새로운 안을 내놓았다. 우선 대기업 MRO 계열사와 공정거래법상 상호출자한 56개 대기업 계열사와의 거래는 인정했다. 하지만 기존에 구매대행을 하지 않고 있는 대기업이나 중견기업과의 신규 거래는 제한했다. 또 중소기업과 공공부문의 거래도 원천봉쇄했다. 중소업계측은 "쉽게 말해 기존 대기업과의 거래는 계속하되 추가로 벌이지 말라는 얘기"라며 "원래 품목별로 영업제한 지침도 마련했지만 큰 틀에서 조정안을 제시한 만큼 품목별 가이드라인은 없애기로 했다"고 전했다. ◇대기업 반발 심해 타결 불투명=중소업계의 통보에 대기업들은 강력 반발하는 모습이다. 대기업 MRO사들은 "아예 사업을 확장하지 말고 죽으라는 얘기냐"면서 "협상이 절충 과정을 거쳐야지 일방적으로 정해 통보한다고 될 일이냐"며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다. 특히 매출이 가장 큰 서브원과 KeP의 반대가 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기측은 "대ㆍ중기 양극화가 커 줄이자는 마당에 이 정도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모든 걸 움켜쥐고 하나도 내놓지 않겠다는 건데 이게 무슨 협상이냐"며 "수용하지 않을 경우 대ㆍ중기 기본 합의안을 파기선언하고 위원회에서 탈퇴하겠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자리지키기에 급급한 대기업 실무진의 반대가 너무 심해 조정안이 타결되기는 쉽자 않아 보인다"며 "동반위에서 진행중인 중소기업적합업종 선정 상황과 판박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