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능엔 자기주도 학습이 더 효과적"

高3때 사교육보다 성적 향상… 대학 학점·임금 등에도 긍정 영향<br>김희삼 KDI 연구위원 보고서


자기주도학습이 사교육보다 수능 점수를 더 올린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8일 내놓은 '왜 사교육보다 자기주도학습이 중요한가'라는 보고서를 보면 사교육 1시간보다 자기주도학습 1시간이 수능 성적에서 더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냈다. 김희삼 KDI 연구위원이 지난 2004년 인문계고 3학년생의 수능점수를 확보한 한국교육고용패널 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고3때 주당 사교육 시간이 1시간 많을 때 수능 수리영역 백분위는 평균 1.5 높아진 반면 혼자 1시간 더 공부하면 1.8~4.6까지 올라갔다. 고 3때 사교육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다. 사교육 시간이 주당 1시간 늘어날 때 수능 점수의 백분위 상승효과는 수학이 1.5, 국어 0.5 등에 불과했다. 특히 상대적으로 사교육의 효과가 분명한 편인 수리 영역의 경우 고3 때 수학 과목 월평균 사교육비가 100만원 늘어나면 수리 영역 백분위는 0.0007 정도 높이는 효과에 그쳤다. 사교육비 지출액의 수능 점수 상승효과가 미미하다는 뜻이다. 반면 자기주도형 학습의 경우 혼자 공부한 시간은 수능 주요 영역에서 고르게 매우 뚜렷한 수능점수 향상 효과를 보였다. 고3 때 수학 과목의 주당 자기주도학습 시간이 5~10시간인 학생은 학습을 하지 않은 학생보다 수리 영역 백분위가 13.7 높아졌으며 10~15시간(14.6), 15~20시간(17.2), 20~25시간(23.4%), 25~30시간(24.8), 30시간 이상(33.8) 등의 효과가 나타났다. 국어와 영어도 5~10시간인 학생은 각각 언어와 외국어 영역 백분위가 각각 11.9, 14.8 높아졌고 15~20시간이면 각각 16.2, 20.9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위원은 자기주도학습이 대학 학점과 취업 후 임금 등에 긍정적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분석했다. 고2 때 사교육 1시간 더 받을 경우 대학 학점(백분위 점수 기준)은 0.4점 높아졌으나 자기주도학습이 1시간 더 많으면 1.7점 상승했고 시간당 실질임금도 사교육 1시간은 2.8% 상승 효과지만 자기주도학습 1시간은 3.9%에 달했다. 사교육 시간이 늘어난다고 학습효과가 상승하는 것은 아니라는 결과도 나왔다.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의 학업성취도평가 자료를 이용해 사교육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사교육 시간 증가에 따라 성적이 비례적으로 상승하기보다 향상 폭이 줄어드는 체감현상을 보였다. 김 연구위원은 "가계의 사교육 투자를 합리화를 위해 소모적인 점수 경쟁을 유발하는 입학전형 제도를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