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대출규제 조치 은행들 배만 불린다

대출금리는 올리고 예금금리 낮춰 마진 폭 확대<br>막대한 순익 지속… 올 사상최대 20조 육박할듯


은행들이 금융 당국의 가계대출 규제로 대출금리는 올리고 예금금리는 낮추면서 예대마진이 큰 폭으로 높아진 덕분에 3ㆍ4분기에도 막대한 순이익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은행들의 이자 놀음으로 표현되는 이른바 '이자 이익'이 급증한 것인데 금융 당국의 대출규제 조치가 은행들의 배만 불린 셈이다. 4ㆍ4분기까지도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은행들은 올해 지난 2007년의 연간 당기순이익 15조원을 뛰어넘어 20조원 가까운 순이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3일 금융계와 증권 정보업체인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우리ㆍKBㆍ신한ㆍ하나ㆍ기업ㆍ외환ㆍDGB금융ㆍBS금융 등 8개 은행의 3ㆍ4분기 증권사 추정 평균 순이익은 총 3조3,10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개 은행의 3ㆍ4분기 순이익만으로도 현대건설 매각이익을 제외한 전 은행권의 2ㆍ4분기 순이익(3조1,000억원)을 넘어선다. 이 같은 추세가 4ㆍ4분기에도 이어지면 농협ㆍ수협 등을 포함한 18개 은행의 올해 순이익은 지금껏 사상 최대였던 2007년 15조원을 뛰어넘어 2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은행들이 3ㆍ4분기 이 같은 실적을 올린 것은 8월부터 시행된 가계대출 규제와 '저축은행 사태' 덕분이다. 대출 규제를 빌미로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높이면서 이자 놀음은 한 것이다. 반면 대출 받기가 어려워진 고객들은 어쩔 수 없이 크게 오른 대출금리를 내고 돈을 빌려야 했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은행에 따르면 신규 가계대출 금리는 7월 연 5.46%에서 금융 당국이 가계대출을 규제하기 시작한 8월 5.58%로 한 달 새 0.12%포인트 뛰어올랐다. 이는 2010년 3월 가계대출 금리가 5.8%를 기록한 후 1년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올 들어 7월까지 6개월간 대출금리 상승폭이 0.16%포인트였던 것을 감안하면 한 달 만에 6개월간 상승치와 비슷하게 오른 것이다. 반면 '저축은행 사태'로 안전금융회사로 분류되는 은행으로 돈이 몰리자 은행들은 수신금리를 낮췄다. 실제 8월 대출금리는 7월보다 크게 올랐지만 8월 신규 저축성예금 금리는 연 3.76%로 7월의 3.79%보다 소폭 낮아졌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은행들은 가계대출을 억제하기 위해 대출금리는 올렸지만 저축은행 사태로 수신금액은 늘어 수신금리는 낮췄다"며 "저축은행 사태가 진정되면서 수신은 예년 수준을 되찾을 것으로 보이지만 대출금리는 별 변동이 없을 가능성이 높아 4ㆍ4분기에도 비슷한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