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추락 전투기 조종복·기체잔해 일부 수거

공군, 모든 항공기 훈련 전면 중단

13일 밤 서.남해상에서 추락한 전투기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는 공군은 전투기 조종사의 조종복 및 기체 잔해를 수거해 정밀감식에 들어갔다. 공군은 14일 밤샘 수색작업 끝에 F-4E 팬텀기가 추락한 제주도 북제주군 추자도인근 해상에서 F-4E 조종사의 것으로 추정되는 조종복 및 기체 잔해 일부를 수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모 소령(36)과 김모 소령(34) 등 2명이 탑승했던 F-4E 팬텀기는 추락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이며, 추락 전후로 폭발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공군은 사고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모든 기종의 항공기 훈련을 전면 금지했다. 공군 사고조사위원회의 정밀감식팀은 수거된 조종복과 기체 잔해를 넘겨받아 추락 원인을 분석하고 있으며, 사고 전투기와 기지간 교신록도 입수해 분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F-4E와 F-5F는 해상에 떠있던 해군 함정을 적 함정으로 가상하고 첫번째 공격기동 비행을 하다가 각각 실종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해상의 파고는 2m, 상공에는구름이 끼어있었다. 군 당국은 사고 직후 한미 합동으로 경기도 평택의 오산 미 공군기지에서 CN-235를 사고 해역으로 긴급 투입, 조명탄을 투하하고 잠수함 탐색헬기인 링스 등을 동원해 대대적인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F-4E가 레이더 상에서 사라졌던 제주도 북제주군 추자도 인근 해상에는 CN-235와 해군 함정 PCC급 3척, 참수리호(PKM) 6척, 제주 및 목포 해경 소속 경비정 8척이투입됐다. 또 F-5F가 실종된 전북 군산시 어청도 인근 해상에도 CN-235와 야간 수색장비를탑재한 미군 HH-60G 헬기, 군산 해경 소속 경비정 4척과 태안 해경 경비정 3척 등을동원해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F-5F에는 김모(35) 소령과 김모(30) 대위가 각각 탑승하고 있었다. 앞서 F-4E는 13일 오후 8시9분께 충북 청주의 제17전투비행단 기지를 이륙, 제주도 북제주군 추자도 동북쪽 13마일 해상에서 해군과 함께 해상 근접지원 임무를수행하다가 오후 8시40분께 갑자기 실종됐다. 해상 근접지원임무는 적의 해상전력 침투를 저지하기 위한 저고도 비행임무를말한다. 또 F-5F는 같은날 오후 8시17분께 경기도 수원의 제10전투비행단 기지를 이륙,전북 군산시 어청도 동쪽 7마일 해상에서 해군과 야간 해상 근접지원 임무를 수행하다가 오후 8시48분께 레이더상에서 갑자기 사라졌다. 공군은 전투기 실종 직후부터 배창식 참모차장을 위원장으로 사고조사위원회를긴급 구성해 정확한 사고 경위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공군은 훈련 당시 사고지역의 날씨가 좋지 않았던 점으로 미뤄 기상악화로 사고가 났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이들 기종이 생산된지 30여년이 지난 노후전투기라는 점에서 기체결함 여부 등에 대한 조사도 병행할 방침이다. 공군은 2008년 8월까지 F-15K 전투기 40대를 도입하면서 이들 기종을 점차 퇴역시킨다는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이귀원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