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용산 통합개발 청사진 내년에 나온다

남산~용산~한강~여의도 관광벨트화 등 담을듯

서울시는 앞으로 용산 부도심권이 도시 중심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보고 통합 개발방안을 담은 마스터플랜을 내년 상반기까지 수립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26일 용산 부도심권에서 각종 개발사업이 이뤄지고 있으나 이를 광역 차원에서 조정하고 관리하는 체계가 부족해 통합조정을 위한 청사진을 수립하기로 하고 오는 5월 중 연구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용산 부도심 일대는 도심과 가까운데다 대규모 개발가능 용지가 있고 다양한 철도교통체제도 갖춰지고 있어 앞으로 서울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를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용산국제업무지구와 용산역 일대, 용산공원(용산미군기지 부지), 한강로도시환경정비구역, 한남재정비촉진지구, 한강르네상스사업(이촌)지구, 이태원로 등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 주택재건축ㆍ재개발사업 등 각종 개발사업이 독자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위해서는 광역 차원의 토지이용계획과 공공지원사업의 시기조정 등 통합관리가 필요하다는 게 서울시의 판단이다. 통합계획 수립 대상지인 용산 부도심 일대의 면적은 약 770만㎡이며 이전 예정인 용산미군기지 부지까지 포함하면 1,100만㎡에 달한다. 마스터플랜은 기존 도심,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 용산공원과 주변지역, 한강수변까지를 포함해 큰 틀에서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용산역을 중심으로 한 광역 교통 인프라 재정비 방안도 만들어진다. 용산에는 현재 운영되는 경인선과 경부ㆍ호남선(KTX), 중앙선 외에도 경의선 복선전철과 신분당선, 대심도급행철도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함께 남산~용산~한강~여의도를 관광벨트로 묶는 새로운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는 내용도 포함된다. 이제원 도시계획과장은 "용산 일대에서 개별적으로 이뤄지는 개발계획들을 하나로 묶어 효율적인 도시공간을 창출하는 게 기본 목적"이라며 "수립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새로운 사업들도 발굴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