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재보선 민심 겸허히 수용해야

4ㆍ27 재보궐선거가 끝났다. 국회의원 3명과 강원지사 및 일부 지방자치단체장 등을 뽑은 이번 재보선은 국민의 관심이 높았던 만큼 투표율도 높았다. 지난해 두 번 치른 재보선 때의 34.1%(7월28일)와 30.9%(10월27일)보다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정국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작지만 큰 선거'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선거 결과는 앞으로 정국과 국정운영 등에 상당한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된다. 극심한 여야대결을 보인 성남시 분당을과 경남 김해, 강원지사 선거는 민심의 향방을 읽을 수 있는 기화라는 점에서 정치적으로 많은 시사점을 준다. 중산층이 많이 살아 '강남2구'로 불리는 분당을에서 야당 후보가 선전한 것은 중산층이라고 해서 정부 여당에 반드시 호의적이지는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 '노무현 바람'이 예상된 김해에서 한나라당 후보가 선전한 것도 예상을 벗어나는 결과다. 유권자들이 '바람'에 휩쓸리기보다는 인물중심의 합리적인 선택을 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정치권과 정부는 이번 선거 결과에서 드러난 민심을 정확하게 읽고 국민의 여망에 부응하는 자세를 가다듬어야 한다. 특히 정치권은 일방적인 아전인수격의 정치행태에서 벗어나 민심을 받드는 정치를 위해 거듭나야 한다. 이번 선거에서 확인된 또 한가지 문제는 흑색선전을 비롯한 후진적인 선거풍토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다. 국민의 의식수준은 크게 높아진 데 반해 정치권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붙고 보자는 식의 후진적 행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겸허한 반성이 있어야 한다. 이번 선거 결과는 곧 단행될 것으로 보이는 개각을 비롯해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민심의 소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가능한 한 국정에 반영하기를 기대한다. 이제 하루빨리 선거열기에서 벗어나 국회와 정치권은 제자리로 돌아가 민생을 챙기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 무엇보다 국회는 오는 7월 발효 예정인 유럽연합(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을 서둘러야 한다. 국제원자재 가격이 뛰는 가운데 물가불안이 가중되고 있을 뿐 아니라 중동의 정정불안에다 일본 원전사고 등 불안요인이 한둘이 아니다. 위기극복을 위한 정치권의 동참을 기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