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화콘덴서, 스마트그리드용 고출력 탄소나노 슈퍼커패시터 개발

삼화콘덴서가 스마트그리드용 고출력 슈퍼커패시터를 개발해 해외시장 공략에 나섰다. 삼화콘덴서는 최근 개발을 완료한 슈퍼커패시터에 대해 국내 및 미국에서 6건의 특허를 출원 중이라고 15일 밝혔다. 아울러 회사측은 PCT(특허협력조약)국제특허 출원도 준비 중이다. 슈퍼커패시터는 커패시터의 성능 중 특히 전기용량의 성능을 중점적으로 강화한 제품으로 충전지와 같은 기능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슈퍼커패시터는 가전기기의 백업용 배터리 대용으로 쓰였으나, 최근에는 산업용기기, 전기차, 스마트그리드용으로 그 사용처가 확대되고 있다. 삼화콘덴서의 슈퍼커패시터는 기존 제품 대비 등가직렬저항(ESR)이 30% 감소해 고출력이 가능하며, 용량변화율이 낮아 제품수명이 20% 증가해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순간적인 고출력과 안정적인 대규모 전력시스템이 필요한 전력용 스마트그리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삼화콘덴서가 이번에 개발한 제품은 서울대 화학공정연구소 이종협 교수 및 송인규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기술개발을 통해 이뤄졌다. 기존 슈퍼커패시터의 경우 활성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나, 이번 신제품은 에어로젤탄소를 기반으로 개발돼 이차전지용 음극소재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초임계법에 의해 제작되는 기존 탄소소재와 달리 ‘졸겔(Sol-Gel)법’을 새로 적용, 제조단가가 낮다는 것이 특징이다. 회사측은 스마트그리드용 고출력 슈퍼커패시터의 전세계 시장규모가 올해 약 1,500억원 수준이나 2012년에는 1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삼화콘덴서는 용인시와 함께 슈퍼커패시터를 적용해 풍력 및 태양광용 홈그린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을 개발 중이며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에도 참여 중이어서 향후 가시적인 사업화를 기대하고 있다. 오영주 삼화콘덴서그룹 회장은 “스마트그리드용 슈퍼커패시터의 경우 삼화콘덴서가 지난 50년간 사업화해 온 전력용 커패시터 사업과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며 “배터리 기능을 가진 에너지 저장장치와 이차전지 등 소재 사업화를 통해 그린컴퍼니를 그룹의 신성장동력으로 삼을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