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靑 "론스타 태도 바람직하지 않다"

정문수 경제보좌관 "시시비비는 절차에 따라 가리는 것" <br>"금융허브 되기 위해 자본시장 관련규제 3분의1 이상 철폐계획"

정문수(丁文秀)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24일(현지시간) "론스타가 현재 진행중인 사안에 대해 해외에서 (한국 정부를) 비난한 것을 보고 놀랐다"면서 "시시비비를 기자회견을 통해 밝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정 보좌관은 이날 뉴욕 맨해튼의 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증권선물거래소(KRX) 주최 상장기업 투자설명회에 참석, 론스타 펀드의 존 그레이켄 회장이 전날 한국정부를 비난한 것에 대해 "문제가 있다면 한국에서 국세심판소 청구 등의 절차에 따라일을 진행시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 정부도 신속히 조사가 마무리되길 희망하고 있다"면서 "조사에 시간이 많이 걸려 론스타가 답답해 하고 있겠지만 절차에 따라 거쳐야 할 것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보좌관은 "감사원에서 사실확인이 충실히 됐다면, 검찰 조사는 평소보다 짧아질 수도 있을 것"이라면서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을 외국에서 이렇다 저렇다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거듭 지적했다. 앞서 정 보좌관은 기조연설을 통해 "최근 외국 자본에 대한 한국정부의 조치를 반 외국자본적 태도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일부 있지만 한국의 진정한 목적은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는 것"이라면서 "한국 자본이건, 외국 자본이건 법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한국이 동북아의 금융허브가 되기 위해 약 300개에 달하는 자본시장관련 규제 가운데 투자자 보호를 위한 규제를 제외하고 3분의 1 이상을 철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까르푸와 월마트의 한국시장 철수와 관련, 정 보좌관은 "국내 기업들이 한국인의 취향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한 반면, 외국 기업들은 현지화에 실패한 사례도 있다"면서 "이러한 시장 철수는 정상적인 경쟁의 부산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그는 `주식시장에 대한 세제혜택을 검토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미국의 (기업연금) 401K와 같은 혜택은 부여하고 있지 않지만 향후 기업연금 등을 통한 세제혜택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