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삼성硏 "노후 대비로 소비여력 축소"

전체 가구 4분의1 월소득 10% 이상 노후대비 적립<br>노인벤처 등 노인일자리 창출·역모기지론 활성화 필요

최근의 극심한 소비침체는 노후대비로 인한 소비여력 감소도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0일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노후불안과 소비부진'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4분기 1천개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소비자태도 조사' 결과 86.3%가 노후대비를위해 현재 소비를 줄이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 월평균 소득의 10% 이상을 노후대비에 사용하는 가구가 전체의 4분1에 달했고 노후대비 지출이 소득의 30%가 넘는다고 응답한 가구도 3.2%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연평균 소득이 5천만원 이상인 계층은 소득의 일정부분을 줄여 노후대비에사용하는 비율이 93.9%로 2천만~3천만원의 88.8%와 1천만~2천만원의 83.2%에 비해높아, 노후불안이 중산층 이상 소비부진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연구소는 지적했다. 연구소는 이와 함께 `2003년 사회통계조사'에서도 조사대상 3만3천개 가구의 68.2%가 저축을 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중 노후대비를 위해 저축하는 가구 비중이 65.3%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노후를 위해 저축을 하고 있다는 응답의 비중은 지난 1999년의 57.7%에서 8%포인트 가량 상승한 것이라고 연구소는 밝혔다. 연구소는 `저부담-고급여' 체제인 국민연금이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고갈될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노후불안을 가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소는 노후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노인벤처 육성 등 노인 일자리 창출과 임금피크제 활성화 등을 통해 개인의 경제적 수명을 연장하고 역모기지론을 활성화해 은퇴자들의 노후생활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소는 또 국민연금 보험료의 일정 부분은 소득에 따라 의무적으로 적립하고 그 이상은 자율적으로 저축하는 방식을 도입하는 등 국민연금제도를 개혁하고 육아부담을 경감시켜 출산율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