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중수부 존재 이유 보일것"… 정면 돌파 의지

김준규(가운데) 검찰총장이 6일 오후 검찰 긴급간부회의를 마치고 간부들과 함께 기자회견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고개를 숙인 김홍일(왼쪽) 중수부장의 모습도 보인다. /원유헌기자

검찰이 ‘저축은행 비리 끝장 수사’라는 정공법을 택한 것은 정치권의 ‘대검 중수부 수사기능 폐지’ 합의에 대해 중수부 존재의 이유를 보여주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로비 배후로 의심되는 정∙관계 비리 몸통에 대한 성역 없는 수사를 통해 중수부 폐지안을 정면으로 돌파해 나가겠다는 의지다. 이 같은 움직임에는 부산저축은행 비리에 대한 지금까지의 중수부 수사가 긍정적인 여론 평가를 받고 있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청와대에서 6일 한나라당에 중수부 폐지에 대해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는 뜻을 전달함에 따라 검찰의 정치권 수사에 힘이 붙을 전망이다. ◇격앙된 검찰, ‘중부수 폐지’ 대응책 놓고 2시간 30분여 격론= 대검찰청 긴급간부회의가 소집된 6일 오전. 회의를 소집한 김준규 검찰 총장은 아침 일찍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현충일 추념식에 참가한 뒤 오전 11시께 검은 넥타이 차림 그대로 서울 서초동 대검 청사로 출근했다. 11시30분 대검청사 회의실에서 시작된 회의에는 대검 과장급 이상 간부 40여명 전원이 참석했다. 김 총장보다 먼저 대검에 나온 박용석 차장검사 등 다른 대검 간부들도 모두 비장한 표정이었다. 사실상 점심 휴식 시간 없이 논스톱으로 진행된 회의에서는 정치권의 중수부 폐지 방침에 대해 격앙된 톤의 토론이 펼쳐졌다. 대체로 권력형 비리를 척결해 온 대검 중수부를 폐지하자는 여야의 합의에 대한 부당성을 지적하는 목소리와 향후 구체적 대응 방안이 주를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2시간 30여분의 팽팽한 토론의 흐름은 결국 저축은행 비리와 관련해 ‘성역 없는 수사’라는 원칙 대응이 최선책이라는 결론으로 마무리됐다. ◇벼랑에 내몰린 검찰, ‘정공법’ 승부수= 검찰이 이날 회의에서 “본연의 임무인 부패수사 전념"이라는 대응책으로 의견을 모은 것은 정치권의 중수부 폐지안에 반발해 ‘수사 중단’이라는 극단적인 방안에 무게 중심을 두다가는 자칫 거센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의 중수부 폐지안에 감정적으로 대응해 저축은행 수사를 멈출 경우 오히려 ‘직무 유기’라는 거센 비판의 화살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작용한 것이다. 실제로 이날 회의에서는 ‘중수부 폐지를 반대한다면 더욱 철저하게 저축은행 수사를 진행해 중수부의 존재가치를 보여 주면 되는 것’이라는 의견이 주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부산저축은행그룹 수사를 통해 서민 예금을 제 주머니 돈처럼 주물럭거린 금융당국과 정관계 인사의 비리를 말끔히 파헤칠 경우 이른바 권력형 비리를 수사하는 대검 중수부가 존치돼야 할 필요성이 부각될 수 있고 자연스럽게 중수부 폐지안을 둘러싼 정치권의 강공 드라이브도 수그러들 것이란 뜻이다. 검찰은 이에 따라 연휴기간 미뤘던 피의자나 참고인 소환조사를 7일부터 본격 개시할 방침이다. 5일 예정됐다 미뤄졌던 김종창 전 금융감독원장의 소환조사도 7일 진행할 계획이다. 검찰의 이 같은 결정은 청와대가 이날 중수부 폐지 사안을 정치권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밝힘에 따라 한층 더 힘이 실릴 전망이다. 청와대의 이 같은 입장 표명은 저축은행 비리 수사에 대해 비교적 침묵으로 일관했던 청와대가 검찰에 성역 없는 수사를 독려하고 나선 것이나 마찬가지여서 정치권을 겨냥한 검찰의 수사 칼날은 한층 더 예리해질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