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휴대전화 '보조금 차별' 여전

번호이동과 기기변경간 보조금 10만~20만원 차이<br>가입자 차별 논란 다시 고개

"한번 낚은 고기에는 떡밥을 다시 주지 않는다" 이동통신사들이 휴대전화 보조금이 부분 합법화 됐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휴대전화 기기변경과 번호이동시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고 있어 가입자 차별이라는 해묵은 논란이 다시 고개를 치켜들고 있다. 이는 1년6개월간 한 이통사를 계속 사용하면 번호이동과 기기변경 가입자에게 같은 혜택을 주자는 보조금 부분 합법화 취지를 무색하게 하는 것이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통사들은 번호이동 가입자에게 기기변경 가입자에 비해 10~20만원 많은 보조금을 얹혀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보조금 차별을 낳는 것은 국내 이통시장이 포화상태에 도달한 가운데 이통사들이 충성도 높은 기존 고객보다는 새로운 수익원인 신규 고객 유치를 위해 여러 판매 관련 수수료 정책 등을 통해 불법 보조금을 살포하기 때문. 실례로 종로 소재 한 이통사 대리점에서는 삼성전자의 초슬림 슬라이드폰(V-840모델)의 경우 번호이동시에는 기기변경 때보다 10만원의 보조금을 더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더 나아가 용산 전자상가나 테크노마트 등과 같은 집단상가 일부 대리점과 판매점에서는 번호이동과 기기변경 간에 20만원 안팎의 보조금 차이가 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6월 이통사 간 가입자 빼앗기 경쟁이 가열되면서 불법 보조금이 난무하던 때보다는 한풀 수그러들었지만 여전히 가입자 간 차별이 존재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 소비자들의 비난이 거세다. 휴대전화 사용자 모임인 세티즌의 박성우(아이디 greendel) 회원은 "신규 가입이나 번호이동은 엄청나게 싸게 주면서 기기변경은 거의 (단말기 가격) 그대로 받는다"고 꼬집었다. 김흥문 회원은 "번호이동이 제일 싸고 그 다음엔 신규가입, 맨 마지막이 보상기변"이라면서 "어쩔 수 없는 우리나라 통신사들의 행태"라고 비난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최근 과징금 부과 이후 불법 보조금에 따른 기기변경과 번호이동 간 보조금 차이가 많이 줄었다"면서도 "현실적으로 신규 고객이나 번호이동 가입자를 유치할 경우 더 많은 인센티브가 돌아가는 게 현실이라 가입자간차별현상은 쉽사리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