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이 2,122억달러로 전달에 비해 274억2,000만달러나 감소했다. 5월부터 줄어들기 시작해 7개월째 연속 감소세를 이어온 가운데 10월에는 사상 최대의 감속폭을 기록했다. 외환보유액 감소는 이미 충분히 예상됐던 일로 새삼스러울 것은 없다.
글로벌 신용경색의 불똥이 국내로 튀어 외화유동성 부족 문제가 불거지면서 보유 달러를 풀었기 때문이다. 여기다 유로화 등이 약세를 보이면서 이들 통화표시 자산의 달러화 환산액이 줄어든 것도 원인으로 작용했다.
문제는 외환보유액 감소가 환율상승 등 외환시장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정부는 대내외 여건이 호전돼 그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내다보고 있다.
미국과의 300억달러 규모 통화스와프 협약 체결로 안전장치가 마련됐고 무역수지도 흑자로 전환됐다. 외국 언론과 금융회사들의 한국에 대한 부정적 시각도 크게 개선됐다. 성급한 판단일지 모르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도 각국의 강도 높은 대응책으로 일단 큰 고비를 넘긴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인 상황이 우호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문제가 말끔히 해결됐다고 장담하기는 이르다. 외환보유액 감소세가 멈추지 않을 경우 외환시장은 또다시 불안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외환보유액 자체가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6월 말 현재 유동외채(단기외채와 1년 내 만기 도래할 장기외채)는 2,223억달러인데 외환보유액이 이보다 적은 것이다.
물론 만기가 돌아온다고 해서 100% 상환요구가 들어오는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의 상황에 비춰볼 때 이는 외화유동성 부족 논란의 빌미가 될 수도 있다. 국제수지도 유가하락 등에 힘입어 5개월 만에 흑자를 기록했지만 금융위기가 실물경기 침체로 이어지면서 수출여건이 악화되고 있어 큰 폭의 흑자를 낙관할 수 없다.
외환시장 불안이 재연되지 않아야 하지만 최악의 사태에 대비할 필요는 있다. 경상수지 흑자 관리와 함께 중국ㆍ일본과의 통화스와프 규모 확대 등도 잘 마무리해 이중 삼중의 안전판을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