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지정학적 리스크' 줄이려면

북한 핵실험 소식이 전해지면서 금융시장이 일종의 패닉상태에 빠졌다. 이른바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부각된 것이다. 지정학적 리스크는 글로벌 단일 시장이 확산되면서 시장을 움직이는 주요한 변수가 부상했다. 남북분단의 현실에서 북한은 한국 금융시장에는 항시적 지정학적 리스크로 잠복할 수밖에 없고 북한 이슈만 터지면 시장이 요동을 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더구나 외환위기 이후 외국인 투자가들이 국내 유가증권 시장의 주도적 세력이 된 후 지정학 이슈는 더욱 강한 힘을 발휘하는 추세다. 지난 94년 북한의 ‘서울 불바다’ 발언에서부터 올들어 대포동 미사일 발사, 핵 실험에 이르기까지 지정학적 리스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주는 강도가 갈수록 커지는 경향은 이런 흐름을 반영한다. ‘서울 불바다’ 발언이 나온 94년 3월21일, 원ㆍ달러 환율은 50전 오르고 주가는 7.42포인트 떨어지는 데 그쳤다. 2003년 1월10일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선언 당일 주가는 2.04포인트 떨어지고 환율은 10전 하락했다. 올해 7월5일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 때는 환율이 3원30전 오르고 거래소시장은 불과 6.07포인트 하락했다. 하지만 북한이 핵실험을 한 9일 환율은 14원80전 폭등하고 거래소시장은 32.60포인트(2.41%) 급락했다. 핵실험은 북한이 국제사회가 금지한 선(레드라인)을 넘어서는 중대한 사안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한국 금융시장이 외국인들에 의해 장악되는 정도가 커졌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완전히 제거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그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은 있다. 그것은 외국인 투자가들을 안심시키는 일이다. 한국이 국제금융시장의 주도권을 쥐고 있는 선진국과 유대를 강화하는 것이 바로 외국인 투자가들을 안심시키는 첫째 방법이다. 아울러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도록 당당하게 대처하는 것도 둘째 대안이다. 또 한국 실정을 잘 모르는 외국인 투자가들이 겁을 먹고 한국시장을 탈출하려 할 때 한국 국적의 자본이 자신감을 가지고 시장을 지켜내는 것도 리스크를 줄이는 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