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번호이동성제 그룹 대리전 비화

SK텔레콤 고객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는 KTF와 LG텔레콤의 번호이동성 전쟁이 그룹사 차원의 대리전으로 번지고 있다. 4만여명의 직원을 거느리고 있는 KT그룹과 8만여명의 LG그룹이 계열사 직원을 총동원해 지원군을 자처하고 나섰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KT는 이달 초부터 전국 지역본부별로 KTF 번호이동 고객유치를 할당, 4만여명의 전 임직원이 적게는 20대부터 많게는 200대에 달하는 KTF 단말기를 판매하고 있다. KT는 약정할인제와 거치할부제, 가입자 유치 수수료 재투입 등 휴대폰 보조금 혜택에 상응하는 다양한 마케팅 수단을 동원해 KTF 번호이동 고객의 40% 가까이를 유치하는 성과를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KT는 지난 6일 통신위원회가 각종 불법ㆍ탈법 마케팅에 대해 강력 경고한 이후 일시적으로 편법적인 KTF 재판매 영업을 중단했지만 곧 가입자 유치 수수료를 상향 조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재개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KT의 한 관계자는 “자칫하다가는 KTF 재판매 사업권 자체를 박탈당할 수 있어 일단 보조금으로 해석될 수 있는 영업을 중단했다”며 “현재 5만원 내외인 가입자 유치수수료를 10만원 이상으로 올려 판촉에 투입하는 방안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KT는 전화요금 할인이나 선불형 상품권인 KT 월드패스 카드를 제공하는 등의 간접 보조금 혜택을 내세워 번호이동 고객을 KTF로 끌어들인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LG텔레콤도 LG그룹 전 계열사에 1인당 10~15대씩 판매해 달라는 내용의 협조요청을 하며 번호이동성 초반 분위기 반전을 시도하고 있다. LG측 관계자는 “KT와 같은 대량 강제할당은 아니지만 발등에 불이 떨어졌는데 이 정도는 해줘야 하지 않겠느냐는 분위기가 팽배하다”고 전했다. 반면 가입자를 빼앗기고 있는 SK텔레콤은 특히 KT와 KTF에 대해 정면으로 비판하며 정부에 강력한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SK텔레콤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유효경쟁 체제 구축이라는 당초 취지와 달리 LG텔레콤보다 월등한 경쟁력을 갖고 있는 KTF로의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특히 KT 재판매라는 불공정요인을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SK텔레콤은 또 “KTF를 SK텔레콤과 마찬가지로 약관인가대상 사업자로 지정해 줄 것”을 정보통신부에 정식으로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김문섭기자 clooney@sed.co.kr>

관련기사



김문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