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당선자 인사청문회 언급 의미>

김대중 대통령당선자가 20일 인사청문회에 대한 주변인사들의언급에 제동을 걸고 나서 주목된다.김당선자는 이날오후 삼청동 교육행정연수원에서 대통령직 인수위로부터주례업무보고를 받은 자리에서 "나는 아직까지 인사청문회에대해 뭐라고 말한 바가 없는데 마치 내뜻인 것처럼 한다, 안한다고보도되고 있다"고 불쾌감을 표시했다. 김당선자는 그러면서 "인수위 관련소위는 가급적 빨리 이 문제에대한 법률적검토를 해서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8인협의회에서검토하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김당선자의 이같은 언급은 그 자체로는 인사청문회 실시론자들을겨냥한 것인지,아니면 불가론자들을 겨냥한 것인지가 명확하지않은 게 사실이다. 그러나 주변 인사들의 언급을 종합하면 김당선자는 대선 공약대로인사청문회를실시하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당선자 본인도 이날 "IMF(국제통화기금) 사태 때문에 대선공약이무효라고 무 책임하게 말해서는 안된다"며 `공약은 이행해야 한다'는 점을강조했다. 이에 앞서 김당선자는 최근 한 측근을 포함, 일부 인사들이`투서난무' 등 인사 청문회의 부작용을 거론하면서 `청문회 불가론'을 제기하자 "인사청문회를실시하면 좋은 점도 많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당선자진영의 한 관계자는 "청와대 비서실 수석비서진이나내각 각료로 기용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거론되는 인사일수록 인사청문회를실시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김당선자는 그러나 얼마전 `국민과의 TV대화'에서경제청문회를 실시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듯 인사청문회도 반드시 해야 한다는입장인 것으로 안 다"고 말했다. 김당선자는 그러나 인사청문회의 구체적 대상과 방법은 초대총리로 내정된 자 민련 김종필명예총재의 `협조'와 `양해'를 얻어 결정할 것이라는게 이 관계자의 전 언이다. 대선공약인 인사청문회는 기본적으로 실시해야 하지만 김명예총재의 `의중'도 타진해 보겠다는 게 김당선자의 생각인 것같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