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기관장 공모제 확산

금융기관장 공모제가 확산되고 있다. 금융통화위원으로 자리를 옮길 김종창 기업은행장 후임행장이 공모로 선임되는 데 이어 임기만료되는 우리은행장 등도 공모를 통해 충원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공모제 금융계 인사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공모제가 크게 주목받은 것은 최근 정부부처 국장급 인사를 거치면서부터. 주요 국장급 보직의 맞바꿈과 직위공모제의 성과가 크다는 평가에 따라 범위가 확대되는 분위기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30일 “금통위원으로 추천된 김 행장에 대한 임명 절차가 끝나면 공모 절차를 통해 후임을 선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선발방식은 주택금융공사의 케이스에 따를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 공모 등을 통해 기업은행장 후보를 정한 후 재경부 장관이 추천해 대통령이 임명하는 절차를 밟는다는 것이다. 기업은행장 공모는 공모제 확산의 계기가 될 전망이다. 임기만료가 줄이어 닥치기 때문이다. 다음달 임기만료가 다가오는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부회장 3명, 우리은행장, 경남은행장, 광주은행장, 통합증권거래소 이사장을 비롯한 각종 금융유관 단체장 인선에도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주택금융공사 사장을 공모할 당시 내걸었던 교훈은 ▲금융관련업무 3년이상의 1급 이상공무원 ▲금융분야에서 5년 이상 일한 금융기관 임원 ▲대학 부교수 이상의 금융전문가 등을 자격조건으로 내걸었다. 정부가 공모제를 확산시켜는 것은 절차의 투명성과 객관성을 최대화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반론도 적지 않다. 정부는 “공모제가 자리잡게 되면 조직의 인재습득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공모제가 공직자들의 추천권만 강화시켜 결국에는 낙하산 인사를 배출하는 이론적 배경이었다는 반성도 만만치 않게 나오는 상황이다. <권홍우기자 hongw@sed.co.kr>

관련기사



권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