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꼬리자르기식 법정관리 신청 근절을"

채권단 고위 관계자 격정 토로

"웅진 사태는 (오너의) 잘못된 경영 관행을 바로 잡는 계기가 돼야 합니다."

채권단마저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웅진그룹이 지주회사인 웅진홀딩스와 극동건설에 대해 전격 법정관리를 신청하자 채권단은 말 그대로 공황에 빠졌다. 주채권은행 역할을 맡고 있는 신한과 우리은행뿐만 아니라 다른 은행 임원들도 이구동성으로 차제에 기업 오너의 도덕적 해이(모럴 해저드)를 뿌리뽑아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채권단 고위관계자는 4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기업 오너는 경영의 책임을 져야 한다. (일부 계열사만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방식으로) 꼬리를 자르는 식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나 박병엽 팬택 부회장은 가진 것을 다 내놓고 회사 경영 정상화에 전력을 다했다"면서 "웅진은 그런 모습이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또 "이익을 낼 때는 모두 챙겨갔던 오너가 이제 경영이 어려워지자 (꼬리를 자르는 식으로) 빠져나가려고 하는데 기업어음(CP)이나 회사채에 투자한 개인투자자 등만 엄청난 손해를 보는 행위를 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관련기사



윤석금 웅진 회장이 법정관리인이 되는 것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명확히 했다.

그는 "윤 회장의 경영권 유지도 큰 그림에서 볼 필요가 있다"면서 "(윤 회장이 법정관리인이 되는 것은) 답할 가치도 없다. 내 입으로 얘기하지 않아도 다 아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채권단도 알지 못하게 전격 법정관리를 신청한 뒤 기존 경영권마저 유지하려는 행위가 모럴 해저드의 극치인 상황에서 경영권을 갖도록 해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그는 "통합도산법을 이용해 경영권만 유지하려는 것 자체가 꼼수"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는 통합도산법의 잘못된 관행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통합도산법의 '기존관리인 유지제도(DIPㆍDebtor in Possession)'를 이용해 경영권을 유지하려는 행위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LIG건설이나 삼환기업 등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나왔는데 당시에는 국민도 DIP 악용에 대해 문제점을 인지하지 못했지만 웅진의 경우 그것을 알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기업은 제도를 악용하기보다는 위기 때 그룹 전체가 합심해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관점에서 5일 법원에서 진행될 대표자 심문 때도 채권단은 관리인 선임의 문제와 웅진코웨이 조기 매각 등의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채권단의 또 다른 고위관계자는 "웅진그룹 정상화를 위해서도 웅진코웨이 매각을 조기에 끝내자는 입장을 밝힐 것"이라면서 "동시에 윤 회장의 법정관리인 선임에 반대 입장을 피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웅진폴리실리콘의 처리 방향에 대해서는 "매각을 해야겠지만 워낙 덩치도 크고 태양광 업황도 좋지 않아 쉽지 않다.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을 추진할지 등은 좀 더 논의하고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철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