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日本 대지진] 방사능 공포에 둔감한 행정당국

일본 동북부 지진사태의 여파로 원자력발전소가 폭발함에 따라 방사능 오염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사람들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지만 국내에선 해당 부처가 서로 책임을 전가하거나 신속한 결정을 하지 못한 채 입국자가 늘어나고 있어 불안감만 커지는 상황이다. 15일 인천국제공항과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술부 등에 따르면 현재 항공편을 통해 일본에서 국내로 입국한 사람들에 대해 방사능 오염 여부에 대한 검사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방사능에 노출된 사람의 소지품 등을 통해 방사능 물질이 전파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주영수 한림대성심병원 산업의학과 교수는 “방사능 노출이 된 옷이나 소지품 등을 만졌을 경우 피부나 호흡기 등의 여러경로를 통해 오염될 여지가 있다”며 “다만 위험지역 노출자들은 이미 격리되고 있어 국내에 들어오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일일이 방사능 검역을 하는 것은 인권침해소지도 있고 불필요하기 때문에 위험지역에 다녀온 구조대와 의료진 등에 우선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해당 정부 부처는 서로 책임을 떠넘기며 아직까지 검사 계획을 못 세우고 있어 국민들의 불안감은 커지고만 있다. 전문가들은 일본에서 입국하는 사람들이 처음 발을 내딛는 공항에서의 검사가 최우선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인천국제공항공사의 한 관계자는 “검역 관련 기능은 복지부 관할인 인천공항검역소가 맡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복지부는 방사능 관련 검사는 자신들의 업무가 아니라는 주장이다. 인천공항검역소의 한 관계자는 “우리는 방사능 물질을 검사할 수 있는 아무런 장비도 인력도 없다”면서 “해당 업무는 교과부에서 맡고 있다”고 밝혔다. 주무부처인 교과부는 아직 사안의 심각성이 크지 않다며 선뜻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검사를 위해 독립된 장소도 필요하고 운영인력, 예산, 사고 발생시 이송시스템 등도 사전에 마련해야 하는데 교과부 판단으로만 결정하기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것보다는 국민들의 과도한 불안감이 더 문제가 된다는 게 교과부의 주장이다. 교과부 원자력방제팀 관계자는 “방사능은 X선 검사 등에서도 노출될 수 있듯이 소량이라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우리가 파악하기에는 그렇게 심각하지 않으니 국민들도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재 정부가 보유한 장비는 방사능 검사 장비는 이동형 장비가 50대, 문형으로 된 검색대가 4대 등으로 알려져 있다. 교과부는 이들 장비의 경우 필요한 경우 즉시 검사에 쓰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