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우리금융 "경남·광주은행 팔아 자사주 매입"

민영화 방식 싸고 논란 불가피

박근혜 정부 출범을 앞두고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문제가 다시 화두로 떠오르는 가운데 우리금융지주가 경남ㆍ광주은행을 팔아 자사주를 매입하는 방식의 민영화를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경남ㆍ광주은행 매각대금으로 예금보험공사와 소액주주들에게서 우리금융지주 주식을 사들여 정부 지분을 낮추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추진해온 '일괄매각' 방식과 배치되는 것이어서 논란이 불가피하고 실제 실행과정에서 걸림돌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금융그룹의 한 고위관계자는 20일 "민영화만 된다면 경남과 광주은행을 분리해서 팔아도 상관없다"며 "분리매각을 우리가 하고 대금이 지주로 들어오면 자사주를 매입하는 식으로 민영화를 진전시키는 방식을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매각대금을 배당하지 않고 자사주를 사면 그만큼 예보 지분이 줄어 민영화를 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홍준표 경상남도지사는 이와 관련해 지난 18일 경남은행 분리매각에 대해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으로부터 이미 동의를 얻었다"고 밝혔다. 우리금융지주 입장에서는 경남과 광주은행을 지주가 떼어 팔고 자사주를 사들이는 방식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우리금융지주 측은 매각대금을 갖고 2금융권 인수합병(M&A)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몸값을 올리는 방안도 생각하고 있다.

관련기사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금융위 업무보고 때 우리금융지주 민영화에 대한 지금까지의 과정을 보고 받았다"며 "앞으로 어떻게 할지 밑그림을 그려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우리금융지주의 생각이 현실화하는 데는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당국의 우리금융의 분리매각보다는 일괄매각을 선호하고 있는데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우리금융지주의 주가가 낮아 헐값매각 논란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