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나라당, 박근혜 과학벨트 발언에 여진 계속돼

개헌 논의는 특위 구성부터 찬반 논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16일 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에 대해 발언한 것을 두고 한나라당은 17일에도 여전히 술렁였다. 친이(친이명박)계나 친박(친박근혜)계 모두 겉으로는 크게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면서도 속으로는 불만을 드러냈다. 박 전 대표의 대변인격인 이정현 의원은 “누구를 비판하는 게 아니라, 박 전 대표 자신은 결정권한이 없는 만큼 대통령 책임하에 일을 처리하면 된다는 뜻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다른 친박계 의원도 “해야 할 말을 했다”고 했으나 이 대통령과 선을 그으려는 게 아니냐는 관측에 대해선 “기자들의 생각일 뿐”이라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한 친박 의원은 “당연한 말을 한 것 아니냐”며 “박 전 대표는 자기 지역구가 있음에도 충청도에 (과학벨트가) 가야 한다는 입장이라는 점을 확실히 밝힌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했다. 한 친이계 의원은 “자꾸 싸움만 붙이는 꼴이 되니 무시해야지”라고 말했다. 다만 “박 전 대표도 매우 정치공학적”이라는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 친이ㆍ친박계는 개헌특위 구성을 둘러싸고도 대립했다. 한나라당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개헌특위 구성에 대해 논의했으나 특위를 최고위원회의 산하에 두느냐 정책위원회 산하에 두느냐를 두고 결론을 내지 못했다. 김무성 원내대표가 “정책위 산하에 개헌특위를 두면 태스크포스 수준의 성격에 불과하다”며 최고위원회 아래로 둘 것을 주장하고 안상수 대표도 “의원총회의 결의와 원내대표의 의견을 존중하자”며 동의했으나 전체 최고위원들의 의견이 반으로 팽팽히 맞섰다. 홍준표 최고위원은 “지도부 전체가 개헌에 찬성하는 게 아니기에 (최고위 아래 두는 게) 문제가 있다”고 말했고, 친박계인 서병수 최고위원은 “특위는 개헌 찬성자들이 중심이 될 텐데 조용히 정책위 아래 둔 채 당내 설득 작업이 필요하다.”고 밝히며 정책위 산하에 둘 것을 주장했다. 결국 한나라당은 지도부 사이 의견 차이만 확인하고 결론을 내는 건 유보한 채 앞으로 더 논의하기로 했다. 특위의 지위에서부터 찬반이 팽팽한 이상 당내 특위 설치가 실행되기까지 과정이 험난해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