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해외 플랜트ㆍ인프라 수출지원 대폭 확대

금융지원 위험분산…발주국 외교노력 강화

해외 플랜트 및 인프라 건설 수주업체에 대한 금융지원이 대폭 강화되고 유망 프로젝트 발굴을 위한 각종 지원체계가 확충되는 등범정부 차원의 대대적인 플랜트.건설 수출 지원책이 시행된다. 정부는 최근 재정경제부와 산업자원부, 건설교통부 등 관계부처간 협의를 통해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해외 플랜트.건설 참여확대방안'을 마련, 오는 12일 열리는 경제장관간담회를 통해 확정,발표할 것으로 10일 알려졌다. 정부는 우선 수출입은행과 수출보험공사를 통한 지원을 강화키로 하고 두 기관사이에 해외 프로젝트 리스크(Risk) 정보를 교환하는 채널을 구축, 수출금융 위험에대한 양 기관의 공동부담을 늘려나갈 방침이다. 이와관련 정부는 삼성물산[000830]이 추진중인 러시아 하바로프스크 정유공장개.보수 프로젝트와 관련해 양측이 위험을 공동부담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정부는 국내외 수출신용기관이 대형 프로젝트에 대해 공동지원 체계를 구축, 수주 가능성을 높이고 위험을 분산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또 외국 정부나 국제금융기구의 프로젝트 발주 동향과 기술 등 각종 정보에 대한 종합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는 한편 현재 60억원 수준인 개도국 유망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조사사업 지원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플랜트 기자재 업체의 해외시장 진출 촉진을 위해 해외 발주처 벤더등록을 정부가 지원하며, 중소업체를 위해서는 단체 보증.보험제를 도입하고 원자재난에 따른플랜트 제작 차질을 방지하도록 원자재 공동구매사업을 벌여나갈 방침이다. 정부는 이와함께 플랜트 발주국과의 이중과세방지 협정체결을 통한 기업들의 조세 부담을 완화하고 발주국의 외국법인에 대한 과다한 법인세 부과와 자국기업 우대등 차별적 관행 및 제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외교적 노력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밖에 해외 플랜트.인프라 건설 참여를 석유와 가스 등 에너지도입과 연계, 해외자원개발과 관련 플랜트 수출이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해외 플랜트.인프라 수출지원 확대는 노무현 대통령의 최근 해외순방 외교의 후속대책으로 마련된 것"이라면서 "향후 외국의 대형 건설 프로젝트 수주 가능성을 크게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권혁창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