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헌인마을 개발 재개여부 주중 윤곽

동양건설·채권단 조건부 접점 찾아… 삼부토건 보증 여부 등은 변수로

서울 서초구 내곡동 일대 무허가판자촌을 고급주거단지로 개발하려다 시공사들의 부도로 좌초된 '헌인마을 도시개발사업'의 재개 여부가 이르면 이번주 중 드러날 것으로 전망된다. 사태 해결을 놓고 벼랑 끝 대치를 하던 시공사와 해당 채권단이 일부 접점을 찾은 것으로 전하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헌인마을 사업의 양대 시공사인 동양건설산업과 해당 채권단은 '조건부'로 서로 각각 조건부 기업회생절차(옛 법정관리) 신청 철회와 신규 자금지원을 실시하는 쪽으로 의견을 좁혀가고 있다. 여기서 조건부란 동양건설이 증자를 위한 투자자 유치가 성사되거나 채권단의 지원안이 마련되면 기업회생절차(옛 법정관리) 신청을 철회하겠다 내용이다. 아울러 동양건설 채권단 측은 헌인마을의 또 다른 시공사인 삼부토건의 경영정상화 방안에 내용에 따라 동양건설 지원 여부를 결정짓겠다는 입장이다. 헌인마을 개발 대주단도 일단 삼부토건과 동양건설산업이 발행한 2,100억원 규모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중 삼부토건이 발행한 1,050억원을 우선 갚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나머지 절반의 동양건설이 발행물량은 연 2%의 금리로 만기 연장(2년)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는 분위기다. 이를 놓고 금융권은 '동양건설 대주주 사재출연 거부-채권단 측의 신규 지원 거부'로 실마리를 못 찾던 협상이 다소나마 절충의 전환점을 찾은 분위기라고 풀이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헌인마을 사업 정상화를 예단하기는 이르다는 분석도 나온다. 동양건설과 채권단이 절충의 가능성을 내비치기는 했지만 그 조건을 들여다 보면 사태 해결의 책임을 핑퐁게임식으로 서로에게 떠넘기고 있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동양건설 몫의 ABCP 만기연장 조건에는 삼부토건이 보증을 서는 등의 내용이 담길 수 있어 삼부토건과 해당 채권단이 총대를 맬지 여부가 변수로 남게 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