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특허 假출원제 도입 필요"

'첨단기술 유출방지' 포럼

첨단기술 유출을 방지하고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특허 분야에서 가출원 제도가 도입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천석 국제특허법률사무소 대표변리사는 17일 서울대 행정대학원이 ‘첨단기술 유출방지와 특허제도’를 주제로 개최한 제268회 ‘정책&지식’ 포럼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서 변리사는 “국내 특허 제도는 출원일 우선을 기준으로 특허권이 부여되는 ‘선원(先願)주의’를 택하고 있어 발명자가 연구가 덜 된 상태에서 출원을 서두르게 된다”며 “이로 인해 첨단기술이 사전에 유출되거나 특허의 활성화가 어려워져 국가경쟁력이 낮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완화된 요건으로 우선 출원한 뒤 1년 내에 정식 특허출원을 하면 출원날짜를 소급해 적용받을 수 있는 미국식 가출원 제도를 도입하면 시간에 쫓겨 특허를 냄으로써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김남정 산업자원부 서기관은 “가출원 제도는 우선일 확보와 함께 출원계속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상당히 매력적인 제도이므로 도입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성복 한국전자산업진흥회 정책개발본부장도 “첨단기술의 유출은 치명적 경제 손실로 국가 발전의 기반을 붕괴할 수 있다”고 진단한 뒤 “가출원 제도 도입 등 정부 차원의 대책과 함께 내부 보안시스템 구축 등 기업 차원의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