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로에 선 벤처] 5.(끝) 무너지는 벤처 비상구는

[기로에 선 벤처] 5.(끝) 무너지는 벤처 비상구는벤처기업의 위기는 정부의 지원만으로 해결될 수는 없다. 과잉보호로 자란 청소년이 홀로 인생을 개척하기 힘든 것과 마찬가지 이치다. 문제는 시장이 제 기능을 하는가다. 시장이 벤처기업의 자금조달시장으로써 확고한 위치를 다질 경우 벤처기업 육성 정책의 방향이 잡힐 수 있는 것이다. 이미 지난 96년 문을 연 코스닥시장과 3월 첫선을 보인 제3시장 (호가중개시장 ·OTC BB)은 벤처기업 자금조달의 장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벤처기업의 자금조달시장을 해야 할 코스닥·제3시장이 벤처금융·기관투자자의 재테크장으로 변질되고 있다. 정작 시장에서 자금을 끌어들여 사업을 일으켜야 할 벤처기업이 시장에서 설 땅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불과 몇개월 전만해도 성장성이 우수한 최고의 기업으로 평가받던 「닷컴업체」들이 속속 시장에서 소외되고 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난 이면에는 눈 앞의 이익에만 급급했던 벤처기업의 책임이 크지만 이를 부추겨 거품주가를 양산했던 벤처금융의 책임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최근 신기술개발과 특허출원으로 우수벤처기업에 지정된 A업체 사장얼굴엔 그늘이 져 있다. 신제품 납품계약도 성사단계이며 수출협상도 잘 진행되고 있지만 자금난에 허덕이던 1년 전 지분 45%를 요구한 창업투자사에 헐값에 넘겨버린 주식 때문이다. 이제 영업실적도 좋아져 주식시장에 문을 두드리려 해도 공모 등을 통해 자금조달을 할 경우 최대주주가 변경될 위기에 처한 것이다. 정부의 벤처기업육성정책과 맞물려 98년 이후 급성장한 벤처캐피털들이 주식을 이용한 벤처기업의 고리대금업자로 전락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벤처기업의 위기는 코스닥시장의 추락에서 시작됐으며 주식시장 약세의 원인은 벤처캐피털을 비롯한 최대주주·기관투자자들이 쏟아 놓은 매물로 인한 수급불안 때문이다. 이제는 시장을 살려야 한다. 시장이 제 기능을 수행할 때 「국민의 정부」가 출범 초부터 강조한 벤처기업 육성정책이 빛을 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3시장에 대한 지원 정책이 시급하다. 주식시장으로서의 위상마저 위협받고 있는 제3시장을 더 이상 방치한다는 것은 벤처기업의 자금조달의 길을 막는 것과 마찬가지다. 정부는 부처간 벤처기업 지원경쟁을 벌이는 것보다 제3시장의 육성을 위해 경쟁매매방식 도입 등 개선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벤처캐피털에 대한 감독을 강화해 주식시장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세력에 대한 철저한 색출 조사가 필요하다. 김관수 신흥증권 벤처팀장은『시장이 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관리감독의 강화가 최우선 과제이다』고 지적했다. 한동수기자BESTG@SED.CO.KR 입력시간 2000/07/28 19:25 ◀ 이전화면

관련기사



한동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