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세계 최초… 엄청난 첨단 한국차에 '술렁'

글로벌 메이커보다 2년 이상 앞서… 시장 주도권 잡았다<br>■ 현대차, 세계 첫 수소연료전지차 양산<br>이달말부터 투싼ix 생산… 2015년까지 1000대 판매

김억조(오른쪽부터) 현대자동차 부회장과 박맹우 울산시장, 윤갑한 울산공장장, 이기상 남양연구소 환경기술센터장이 26일 울산공장 내 수소연료전지차 전용 생산공장에서 투싼ix 수소연료전지차 양산을 축하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


세계 최초… 엄청난 첨단 한국차에 '술렁'
글로벌 메이커보다 2년 이상 앞서… 시장 주도권 잡았다■ 현대차, 세계 첫 수소연료전지차 양산이달말부터 투싼ix 생산… 2015년까지 1000대 판매

김광수기자 bright@sed.co.kr














김억조(오른쪽부터) 현대자동차 부회장과 박맹우 울산시장, 윤갑한 울산공장장, 이기상 남양연구소 환경기술센터장이 26일 울산공장 내 수소연료전지차 전용 생산공장에서 투싼ix 수소연료전지차 양산을 축하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










현대자동차가 세계 최초로 수소연료전지차 양산에 돌입한다.

현대차는 26일 울산공장에서 '수소연료전지차 세계 최초 양산 기념식'을 열고 독자 기술로 개발한 투싼ix 수소연료전지차 생산에 들어갔다.

완성차 업체 최초로 수소연료전지차 양산 체제를 구축한 현대차는 오는 2015년까지 유럽을 비롯한 전세계에 1,000대를 판매해 글로벌 메이커들과의 기술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방침이다. 벤츠ㆍGMㆍ도요타 등 글로벌 업체들은 2015년 이후 양산 예정이라 현대차는 최소 2년 이상 앞서나갈 수 있게 됐다. 독자 기술력과 생산 노하우를 바탕으로 수소연료전지차 대량 생산이 가능해져 글로벌 친환경차 시대를 한발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는 수소연료전지차의 성공적인 양산을 위해 울산공장 내에 신개념 운반설비 등 새로운 생산공법을 적용한 수소연료전지차 전용 생산공장을 별도로 구축했다. 완성된 차량의 수소 충전 및 기밀 검사 시설 운영을 통해 품질 면에서도 만전을 기했다.


현대차는 이달 말부터 투싼ix 수소연료전지차 양산을 시작해 4월 덴마크 코펜하겐시에 15대, 스웨덴 스코네시에 2대 등 유럽을 시작으로 2015년까지 국내외에서 총 1,000대 규모의 수소연료전지차를 생산ㆍ판매해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투싼ix 수소연료전지차는 현대차가 독자 개발한 100kW급 연료전지 시스템과 2탱크 수소저장시스템(700기압)이 탑재돼 있다. 수소 1회 충전으로 최대 594㎞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가솔린 기준으로 환산하면 연비가 27.8㎞/리터(NEDC 유럽 연비시험 기준)에 이르며 영하 20도 이하에서도 시동이 걸리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효율성을 갖췄다.

현대차는 1998년 수소연료전지차 개발에 착수해 2000년 11월 싼타페를 모델로 수소연료전지차를 처음 선보였다. 투싼 수소연료전지차는 2006년 독자 기술로 만들어졌고 3세대 모델로 양산되는 투싼ix 수소연료전지차는 2010년 3월 제네바모터쇼에 첫 등장하며 주목을 받았다.

수소연료전지차 전용 라디에이터 그릴, 범퍼, 포그램프, 슈퍼비전 클러스터, 7인치 네비게이션 등을 새롭게 개발 적용해 상품성을 높였다. 또 수소연료전지차의 핵심인 연료전지 스택, 운전장치, 인버터 등 '연료전지 시스템의 모듈화'로 기존 가솔린차량 엔진크기와 유사한 수준의 시스템을 적용해 생산성 및 정비 편의성도 향상시켰다.

투싼ix 수소연료전지차는 올해 초 벤츠ㆍ볼보ㆍ보쉬 등 글로벌 자동차 및 부품 관련 회사들을 제치고 벨기에 브뤼셀 모터쇼에서 '2013 퓨처오토 어워드' 1위에 선정됐다. 유럽에서는 시범운행 사업자로 선정되고 관용차 공급계약을 맺는 등 기술력과 상품성을 인정받고 있다.

현대차는 수소연료전지차의 세계 최초 양산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 친환경차 기술력을 계속 선도할 수 있고 미래 친환경차 핵심인 수소연료전지차 시장을 선점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김억조 부회장은 기념사를 통해 "세계 최초 수소연료전지차 양산을 통해 친환경 시대를 더욱 빨리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탄탄한 개발 경쟁력을 바탕으로 미래 성장동력인 친환경차 분야 기술 및 생산 선도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꾸준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