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동·북阿 왕정국가들, 반정부 시위 불끄기 총력

바레인, 광장 집회 허용·야권 대화등 유화카드<br>요르단·모로코도 생활 보조금·정치개혁 나서


반정부 시위로 권좌를 위협받고 있는 중동과 북아프리카 왕정 국가들이 시위 불길을 차단하고 시위대들을 달래기 위해 유화책 카드를 속속 꺼내 들기 시작했다. 이들 국가들은 시위대들이 정부를 넘어 왕실에까지 직접 반기를 드는 등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치닫자 개각을 포함한 개혁 조치와 보조금 지급 등을 약속하며 민심 달래기에 사력을 다하고 있다. '왕정타도' 구호아래 14일부터 반정부 시위에 돌입한 바레인에서는 정부가 시위대의 광장 집회를 전격 허용하고 야권에 대화를 제시하는 등 시위 사태에 대해 급격히 온건 노선으로 선회했다. 바레인 현 내각 요직은 수니파의 왕족 출신 인사들이 독차지 하고 있어 사실상 '왕실 정부'와 다름없다. 바레인 정부는 지난 19일 수도 마나마 진주광장에 주둔해 있던 군 병력과 탱크들을 철수 시키고 시위대의 진입을 허용하는 한편, 야권과 대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바레인 정부가 온건 노선을 선택한 것은 강경 대응을 자제하고 시민들의 권리를 존중할 것을 촉구한 미국의 압력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바레인 야권도 정부가 대화 원칙을 밝히자 정부에 대한 요구사항들을 정리하며 분주한 행보를 보였다. 시아파로 구성된 이슬람국가협의회(INAA)등 7개 야당 정파 대표들은 이날 회동을 통해 현 정부 사퇴, 시아파 차별 철폐, 헌법 개정 등을 요구하기로 했다. 지난 6주 동안 끊이지 않는 시위로 몸살을 앓고 있는 요르단도 조속히 실질적인 개혁에 착수하겠다고 약속했다. 요르단의 압둘라 2세 국왕은 20일 정부 주요 3개 부서 간부들을 소집한 자리에서 "나는 빠르고 진정한 개혁을 원한다"며 반(反) 부패부처에 시민들이 제기한 모든 비리의혹을 조사하라고 명령했다. 그는 또 이달 초 새로 구성된 내각에 현 선거법 개정을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압둘라 국왕은 지난 10일 정치개혁을 요구하는 시위대 의견을 수렴해 사미르 리파이 총리 내각을 해산하고 전직 총리인 마루프 바키트를 수반으로 하는 새 내각을 출범시켰다. 그는 앞서 지난 달 식료품 가격 폭등에 분노한 국민들을 달래기 위해 쌀과 설탕, 석유 같은 생필품에 5억 5,000달러에 이르는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한 바 있다. 지난 주말 동안 정치 개혁과 왕권 제한을 요구하며 수천 명이 시위를 벌인 모로코에서도 국왕이 직접 나서 정치 개혁을 수용하겠다고 발표할 예정이다. 모로코 내무장관은 20일 국왕인 모하메드 6세가 조만간 개혁을 약속하는 TV 연설을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