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소 제조업의 전체 인력 부족률이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3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2012년 중소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 제조업의 인력 부족률은 3.03%(6만6,331명)로 집계됐다. 이는 2011년(6만4,738명)보다 0.02%포인트(1,593명) 증가한 수치다.
직종별로는 기술직(4.76%)과 연구직(4.40%)의 인력 부족률이 높았으며, 사무 관리직(1.49%)과 서비스 종사자(1.33%)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금속가공 제품(4.92%) 분야의 인력부족이 가장 심했으며 식료품(3.96%), 목재·나무 제품(3.60%), 음료(3.50%)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의료용 물질·의약품(0.87%), 가구(1.53%), 가죽·가방·신발(1.57%) 등의 업종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규모별로는 소기업(4.01%)이 중기업(1.14%)보다 높았다. 세부적으로 소기업의 경우 5∼9인(6.07%), 10∼19인(3.34%), 20∼49인(3.00%) 순이었으며 50인 이상 중기업의 경우도 50∼99인(1.34%), 100∼199인(1.14%), 200∼299인(0.75%) 순으로 나타나는 등 기업이 작을수록 인력 부족률이 높았다.
부족한 인력을 확보할 때 겪는 어려운 점으로 ‘취업 지원자가 아예 없음’(52.1%)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작업환경 등 열악한 근무여건’(49.0%)과 ‘지원자 중 직무 능력을 갖춘 자가 없음’(39.6%) 등의 순이었다.
직종별로 연구직(52.0%)과 기술직(40.4%)은 ‘지원자 중 직무 능력을 갖춘 자가 없다’는 응답률이 다른 직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기능직(52.8%)은 ‘취업 지원자가 없다’는 답이 가장 많았고, 단순 노무직은 ‘근무 여건 열악’(52.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소 제조업에서 최근 1년 동안 이직한 인력은 28만8,000여 명으로 이직률은 13.3%였다. 직종별로 단순 노무직(17.0%)이 가장 높고 서비스 종사자(15.8%)와 기능직(15.6%)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무 관리직(7.8%)의 이직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이직하는 주요 이유는 ‘임금 수준 불만족’(40.5%)이 가장 많이 꼽혔고, 이어 ‘타업종 근무 선호’(26.7%), ‘작업 환경 불만족’(21.4%), ‘유사 중소기업의 스카우트’(15.2%) 등의 순이었다.
이직을 막으려고 중소 제조업은 ‘연봉과 복리후생 개선’(80.2%)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숙·단합대회 실시’(16.2%), ‘사내 동호회 활성화’(7.5%), ‘경력개발 경로 제시’(7.4%) 등도 이직 방지를 위한 방법으로 꼽혔다.
이 같은 인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움이 된 정부 시책을 묻는 말에 가장 많은 중소 제조업체가 ‘외국인력 제도’(20.4%)라고 답했다. ‘신규채용 인건비 보조 제도’(6.9%), ‘산업기능요원 제도’(3.5%), ‘재직자 직업훈련 제도’(2.3%), ‘기업내 일자리 유지창출 지원제도(1.9%) 등도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