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상급학교 학생일수록 "희망직업 없다" 응답 많아

초등생 11%·고교생은 32%… 고용정보원 '진로지도' 조사

우리나라 초ㆍ중ㆍ고교생들은 상급학교 학생일수록 장래 희망직업이 없거나 이루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 결과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서울 소재 초ㆍ중ㆍ고교 학생, 교사, 학부모 6,966명을 대상으로 ‘초ㆍ중ㆍ고 직업진로지도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초등학생의 88.8%는 장래 희망직업이 있다고 답한 반면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각각 65.6%와 67.7%가 장래 희망직업이 있다고 답해 상급학교 학생일수록 장래희망이 없다고 답한 경우가 많았다고 13일 밝혔다. 초ㆍ중ㆍ고생의 장래 희망직업이 없는 이유로는 ‘내게 맞는 장래 희망직업을 아직 찾지 못해서’가 32.7%로 가장 많았고 ‘무엇을 잘 할 수 있을지 몰라서(23.5%)’ ‘내가 어떤 일을 좋아하는지 몰라서(18.1%)’ 순으로 나타나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정보가 제한적이고 진로와 관련해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장래 희망직업을 이루기 어렵다고 느낀 적이 있다’는 응답은 초등생은 54.8%, 중학생은 68.4%, 고교생은 75.7%로 학년이 높을수록 많았다. 장래 희망직업을 이루기 어렵다고 느낀 이유로 ‘낮은 성적(47.8%)’과 ‘능력 부족(12.8%)’을 꼽는 학생들이 많았다. 특히 고교생의 경우 일반 인문계열의 40.3%가 ‘특별한 이유없이’ 계열을 선택하고 전문계열의 27.7%는 ‘성적 때문에’ 선택했다고 답해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한 정체성을 확보하거나 충분한 탐색을 하지 않은 채 진로를 선택하고 있어 학교 진로지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선호 고용정보원 진로교육센터장은 “학부모 10명 중 6명이 자녀 진로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가장 적합한 기관으로 학교를 꼽았다”면서 “학교의 진로교육 인프라 확충과 교사의 전문성 강화가 매우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