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중국 증시, 바닥은 찍었으나 본격 반등은‘글쎄’

중국 증시가 하락을 멈추기는 했지만 부동산세 도입 우려와 경제 성장 모멘텀 둔화 등으로 당분간 본격적인 반등은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박옥희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4일 “중국 증시가 바닥은 찍은 것으로 보이나 부동산세 도입 가능성이 높고, 경제 성장의 모멘텀이 약해져 큰 폭의 상승은 힘들 것”이라며 “긴축 정책 실시 가능성이 낮은 것은 호재지만 악재가 너무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난 주 6% 빠졌던 중국 증시는 이번 주 들어 3.6% 올랐다. 올해 누적 하락치가 -8.4%임을 감안할 때 높은 상승폭이다. 박 연구원은 “중국의 긴축 정책과 유럽발 재정위기로 가파른 하락세를 이어가던 중국 증시가 일단 바닥을 치고 박스권에서 횡보 중”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반등도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하고 첫 번째 이유로 ‘부동산세 도입 가능성’을 꼽았다. 박 연구원은 “지난 4월 중순 정부의 부동산 추가 규제책 도입 이후 부동산 거래가 확실히 줄었다”며 “하지만 지난 달 초를 기점으로 상하이의 거래건수가 일 평균 100건에서 300~400건으로 늘어나 부동산세 도입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지난 달 31일 상하이시가 중앙정부에 부동산세 관련 계획을 제출했다는 언론보도에 중국 증시는 폭락한 바 있다. 경제 성장 모멘텀이 약화되고 있는 것도 중요한 문제로 지적했다. 박 연구원은 “지난 2월 말 이후 유동성을 계속 흡수하던 인민은행이 최근 유동성 공급에 나설 정도”라며 “중국의 5월 구매자관리지수(PMI)는 전달에 비해서는 물론 예상치도 하회한 53.9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이는 향후 증시에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박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단기적으로는 정책금리 인상 등을 통해 추가 긴축에 나서지 않을 것으로 보여 증시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는 있다”면서도 “그러나 국내,외의 악재가 워낙 커 당분간 중국 증시의 반등을 제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