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해외 직접투자 열기 한풀 꺾였다

작년 276억불…신용경색 우려등 여파 증가세 다소 둔화

세계적인 신용경색 우려 등의 여파로 지난해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직접투자(신고기준)는 276억4,000만달러(5,497건)로 전년의 185억3,000만달러(5,140건)에 비해 49.2% 늘어났다. 지난 2003년 59억4,000만달러에서 2004년 81억1,000만달러, 2005년 91억7,000만달러로 증가하다 2006년 185억3,000만달러로 무려 102.1% 늘어난 점을 감안하면 해외직접투자 열기가 한풀 꺾인 것이다. 재경부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정체됐던 해외직접투자가 규제완화, 자원개발 투자 확대, 기업들의 글로벌 경영전략 등으로 증가하는 추세”라며 “그러나 2006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해외직접투자 잔액 비중은 5.3%로 선진국 평균 30.7%는 물론 세계 평균 26.1%에 비해서도 크게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투자주체별로는 대기업이 151억3,000만달러로 전년보다 31.7%, 중소기업이 107억9,000만달러로 89.9%, 개인이 17억2,000만달러로 26.2% 각각 증가했다. 대기업의 경우 광업(-30.5%), 숙박업(-94.2%) 등의 투자가 감소해 전년(150.8%)보다 증가세가 둔화됐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제조업(41.5%), 건설업(68.2%), 부동산업(181.2%) 등을 중심으로 큰 폭 늘어났고 개인 역시 부동산업(140.1%), 도소매업(31.1%) 등으로 인해 증가폭이 컸다. 업종별로는 사업서비스업의 경우 두산인프라코어의 아일랜드 지주회사 설립, STX의 노르웨이 지주회사 설립 등으로 전년보다 384.5%나 늘었다. 부동산업도 베트남ㆍ중국ㆍ캄보디아 등에 대한 투자 확대로 211% 증가했고 도소매업 (139.1%), 건설업(60.7%) 등도 큰 폭으로 늘었다. 반면 제조업(16.5%)은 증가세가 둔화됐으며 광업(-20.1%), 운수업(-12.0%) 투자는 감소했다. 투자 대상 국가별로는 중국이 64억9,000만달러로 가장 많았고 미국(43억5,000만달러), 베트남(25억5,000만달러), 홍콩(15억7,000만달러), 말레이시아(9억달러), 아일랜드(8억3,000만달러), 캄보디아(8억1,000만달러), 노르웨이(7억9,000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