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최대호 안양시장 "'스마트창조도시 안양’을 국제적 브랜드로 육성 발전"


"‘스마트창조도시 안양’을 국제적 브랜드로 육성 발전시켜나가고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유치에 더욱 힘을 쏟을 방침입니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취임 3주년을 맞아 27일 기자 회견을 열고 "취임 3년 동안 침체된 지역경제를 살리고 시민 행복지수를 높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시장은 "경부선 지하화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가속화 하는 가운데 건강과 행복이 핵심인‘건강도시 안양 프로젝트 톱10’과 소통의 현장행정을 강화하기 위한‘生生시장실’을 새롭게 추진한다"고 말했다.


안양 범계동 스마트콘텐츠벨리에는 현재 118개 인큐베이팅 기업이 시의 지원 속에 스마트 기기 콘텐츠개발을 하고 있다. 전자책 콘텐츠를 개발하는 (주)아이포트폴리오는 옥스퍼드대출판부와 계약을 체결했고,‘그린포션’은 카카오톡 게임인‘케챠프린스’를 출시했다.

관련기사



이밖에 10개 기업이 싱가포르 전시회에 참가해 200만 달러의 수출계약을 성사시키기도 했다.

최 시장은 "스마트콘텐츠벨리에는 오는 2015년까지 최대 300개 기업이 입주하면 3,000여명에 달하는 고용창출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스마트콘텐츠밸리와 함께 조성중인 관양스마트타운, 석수스마트타운, 평촌스마트스퀘어에는 2015년이면 63개 첨단산업기업들이 모두 입주하게 된다"며 "이렇게 되면 4개 산업단지로 인한 안양지역 생산유발효과만도 7조6,200억원, 고용창출은 8만7,000여명에 각각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 시장은 쾌적한 찬환경 도시를 위해 경부선 철도 지하화를 실천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안양시는 경부선 지하화 공동추진을 위한 7개 지자체(안양, 군포, 구로, 금천, 동작, 영등포, 용상)와 지난해 5월 업무협약을 체결 한데 이어 100만명 서명운동심을 이끌어내는데 성과를 이뤘다. 시는 지난 26일 기본구상용역 보고회를 가졌다.

최 시장은 협약을 맺은 6개 지자체와 더불어 국책사업으로 반영되는데 역량을 모아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