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김영길 신임 대교협 회장 "정부 재정, 교육·연구 균형 맞춰 지원을"


"연구만 중요시하는 대학은 연구소이지 대학이 아닙니다. 연구보다 교육이 더 우선입니다. 정부의 재정지원이 교육과 연구에 균형 있게 지원돼야 합니다." 2일 제17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으로 취임한 김영길(사진) 한동대 총장은 교육계의 대표적인 '학부교육 강화론자'다. 김 신임 회장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대학 학부 교육과정의 개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정부의 재정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그동안 국내 대학들이 교수의 연구성과를 너무 강조한 나머지 정작 학생들에게 필요한 전공 및 실무 교육을 등한히 한 결과 산업계로부터 대학교육의 질이 저하됐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는 게 김 회장의 생각이다. 그는 이날 취임식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대학의 95%가 학부중심 대학이고 학부 졸업생 중 85%가 취업하는 반면 15% 정도만이 대학원에 진학하고 있는데 정부의 재정지원은 오히려 대학원이 학부보다 3배가량 많다"면서 "대학의 중심기능이 교육인 만큼 교육과 연구 지원이 최소한 절반씩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정부가 대학의 교육역량 강화를 위해 지원하는 예산은 연간 3,500억원인 데 반해 대학원 중심의 연구비 지원은 약 1조원에 이른다. 김 회장은 정부 재정지원 확대를 요청하는 한편 대학들의 자성도 촉구했다. 그는 "우리나라 대학의 질적 평가가 낮고 청년실업률이 높은 것은 대학이 사회가 요구하는 수준을 맞추지 못했다는 방증"이라면서 "대학은 21세기가 요구하는 인성과 융합지식을 갖춘 글로벌 인재를 키우는 데 전력을 기울여야 하며 이를 위해 대학의 학부교육을 더욱 내실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학이 학생 '선발'보다 '교육'에 방점을 둬야 한다는 점을 누누이 강조해온 김 회장은 이날도 학생 선발방식의 변화를 거듭 주문하며 대학의 사회적 책임을 역설했다. 그는 "대학들이 내신성적 1~2등급 높은 학생을 뽑으려고 서로 합의한 규정을 어기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면서 "(지난해 입시에서) 입학사정관제 규정을 위반한 대학에 대해서는 윤리위원회에서 제재하고 앞으로 규정을 어기지 않도록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사립대학 등록금이 너무 높다는 지적과 관련해 김 회장은 "유럽은 전체 등록금의 100%, 미국ㆍ일본은 20% 정도를 지원하는 데 반해 우리는 전무한 것을 고려해야 한다"면서 "등록금 인상률보다는 학교마다 형편이 어떤지, 현재 총액이 얼마인지 등도 따져볼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이어 "사립대가 자발적으로 등록금을 낮출 수 있도록 정부가 등록금 일부를 지원하는 내용의 사학진흥법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고교등급제ㆍ기여입학제ㆍ본고사를 금지하는 '3불(不) 정책'에 대한 입장을 묻자 김 회장은 "임기를 이제 시작했기 때문에 좀 더 검토해봐야 할 사안"이라며 비껴갔다. 서울사대부고와 서울대 공대, 미국 미주리대 대학원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뉴욕 RPI 공대에서 재료공학박사 학위를 받은 김 회장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연구원과 KAIST 교수를 거쳐 지난 1995년 한동대 초대 총장에 취임, 17년째 학교를 이끌고 있다. 임기는 이기수 전임 회장의 잔여임기인 내년 4월7일까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