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정운찬 거취 논란' 봉합은 됐지만…

靑·崔지경 "잔류 희망" 메시지<br>鄭 "동반성장 도움되게 생각"<br>'사퇴' 최악 갈등 국면은 피해<br>초과이익공유제 불씨는 여전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동반성장위원회에 출근하고 있다. 미소를 머금은 얼굴이지만, 최근의 고민을 담은 듯 얼굴에는 피곤함이 묻어났다. /배우한기자

사퇴 의사까지 밝히며 배수의 진을 쳤던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신중 모드'로 돌아섰다. 청와대가 잔류희망 메시지를 보낸데다 그동안 날카로운 대립각을 세웠던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도 한발 물러서면서 정 위원장의 거취 논란은 일단 봉합되는 모양새다. 그러나 갈등은 미봉된 상황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정 위원장이 잔류하더라도 향후 위원회 활동과정에서 '초과이익공유제' 등과 같이 민감한 이슈가 나올 경우 갈등은 언제든 재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까스로 좌초를 면했으나 동반성장위원회는 출범 100일 만에 풍랑에 휩싸인 모습이다. ◇만류하는 靑ㆍ최중경, 신중 모드 정운찬=21일 정 위원장은 거취에 대해 "동반성장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생각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고민하고 있다"며 "조만간 거취를 밝힐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주 말 임태희 청와대 대통령실장과 최 지경부 장관을 직접 공격하며 사의표명이라는 배수의 진을 쳤던 데 비하면 상당한 입장변화다. 그러면서도 그는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정책에 대한 각별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동반성장은 국가 대사여서 이것이 안 되면 단기적으로는 국가가 불안해지고 장기적으로는 지속성장이 안 된다"며 "국가에 봉사하는 마음으로 위원장을 맡았으나 장벽이 너무 많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청와대와 최 장관은 사퇴만류 메시지를 보내며 사태수습에 나섰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의 뜻은 정 위원장이 동반성장을 책임지고 이끌어달라는 것"이라고 대통령의 의중을 간접적으로 전했다. 이 관계자는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해 다소간의 정책이견이 발생했지만 외교정책을 놓고도 매파와 비둘기파가 다투듯 경제 현안에 대해 정부 내에서 이견이 발생하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라며 "동반성장위 안에서 토론을 거쳐 충분히 해소될 수 있는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최 장관도 위원회 활동을 최대한 지원하겠다며 공개적으로 사퇴를 만류하고 나섰다. 최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기업계 간담회 참석 전 기자들과 만나 "정 위원장이 계속 동반성장위를 맡아 해주셔야 한다"며"동반성장위 예산과 인원에 부족함이 있는지 직접 챙겨보겠다"고 지원을 약속했다. ◇일단 봉합은 됐으나…=정 위원장 사퇴라는 최악의 갈등국면은 피했으나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게 정부와 정치권의 분석이다. 우선 이번 사태의 단초가 됐던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해 여전히 최 장관은 부정적인 입장이기 때문이다. 정 위원장이 위원회에 잔류해 재차 이 제도를 추진할 경우 분란의 불씨가 여전히 살아 있는 것이다. 게다가 이번 갈등이 정책에 대한 의견충돌을 넘어 여당 내 권력투쟁에서 비롯됐다는 점도 사태를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정 위원장이 청와대로부터 어떤 메시지를 받아 위원회에 잔류하게 되더라도 여당ㆍ청와대 인사와 정 위원장의 정치적 갈등이 계속된다면 위원회는 언제든지 풍랑이 휘말릴 수 있다. 이날로 100일을 맞은 동반성장위의 앞날이 순탄치 못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