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5~6월 PF부실 대란 오나

대형 PF 대출만기 집중<br>자금난 시달리는 건설사들 무더기 법정관리 선택할수도


대형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만기가 오는 5~6월에 집중돼 있어 'PF 부실 대란'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삼부토건ㆍ진흥기업 사태 등에서 보듯 PF 대출 만기 상환이나 연장을 둘러싸고 파열음이 커질 경우 자금압박을 견디기 힘겨운 건설사들이 무더기 법정관리 카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금융권이 잔뜩 긴장하는 모습이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부동산 PF 대출의 연내 만기도래액은 약 25조원(은행권 15조원선, 비은행권 10조원선)이며 특히 2ㆍ4분기부터 만기가 집중적으로 도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의 경우만 해도 6조1,000억원의 PF 대출 잔액 중 1조3,000억원대의 만기가 5~6월에 돌아온다. 다른 은행들도 2ㆍ4분기부터 PF 대출 만기도래액이 적지 않으며 이중 상당액을 회수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국민은행의 경우 연내 만기도래 PF 대출 3조5,000억원 중 1조5,000억원가량을 회수하겠다는 방침이다. 농협의 경우 연내 총 8조1,000억원의 PF 대출 만기를 맞이하는데 2ㆍ4분기부터 본격적인 회수작업이 개시될지 주목된다. 주요 저축은행들의 2ㆍ4분기 PF 대출 만기도래액은 ▦솔로몬저축은행 계열 1,000억원선 ▦현대스위스저축은행 계열 1,000억원선 ▦한국저축은행 300억원 등인 것으로 전해졌다. ◇2ㆍ4분기 넘겨도 안심 못해=건설사들이 2ㆍ4분기 중 은행 등으로부터 받은 PF 대출 만기 연장 등이 이뤄진다고 가정하더라도 하반기에도 만기도래가 잇따를 것으로 전망돼 안심할 수 없다는 게 금융권의 분석이다. 특히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 올해는 물론이고 내년까지도 PF 부실사태가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실제로 기업은행의 경우 내년에 만기가 돌아오는 PF 대출 규모가 1조5,000억원에 달해 올해(7,400억원)의 두 배에 이른다. 국민은행과 우리은행도 내년에 각각 2조원과 1조8,000억원대의 PF 대출 만기를 맞이한다. 지난해 말 현재 PF 대출채권을 보유하고 있는 금융기관은 은행 810곳, 저축은행 623곳, 증권사 152곳, 자산운용사 128곳, 보험사 118곳 등이다. 문제는 하나의 PF 사업장을 놓고도 각각의 금융기관이 복잡하게 엮여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어느 한 금융사가 경영상의 이유로 채권회수에 나설 경우 다른 금융사들도 줄줄이 발을 빼기 마련이어서 자칫 살릴 수 있는 PF 사업장들까지도 연쇄적으로 좌초할 수 있다. 특히 일반은행보다 규모가 작은 저축은행이나 보험사 등의 경우 부실에 상대적으로 민감할 수밖에 없어 만기도래 PF 대출 연장에 소극적인 경우가 많다는 게 금융권의 전언이다. 한 시중은행의 리스크담당 임원은 "과거에는 큰 은행 몇 곳만 서로 합의하면 채권단의 대출만기 연장에 문제가 없었지만 요즘에는 채권단에서 비은행계 금융사들의 비중도 커졌기 때문에 사정이 한층 복잡해졌다"고 설명했다. ◇건설업계 또 구조조정 '칼바람' 부나=건설업체 직원들은 요즘 모임이 있을 때마다 "당신네 회사는 괜찮냐"는 질문부터 한다. 금융권이 지금처럼 자금을 옥죌 경우 상당액의 PF 대출을 받고 있는 대기업도 배겨날 재간이 없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PF 대출 보증은 대우건설이 3조8,000억원, SK건설 2조5,000억원, 롯데건설 2조3,000억원, 한화건설 2조1,000억원 등이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이미 수년간 지속돼온 주택시장 침체와 공공공사 발주량 감소 등으로 재무구조가 악화된 상황에서 무리한 PF 자금 회수나 만기 연장에 따른 추가담보 제공 등을 요구할 경우 과연 배겨낼 건설사가 몇 개나 되겠느냐"며 볼멘소리를 했다. 건설업계에는 특히 올해도 지난해와 같은 구조조정 태풍이 휘몰아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당초 이달부터 시작된 구조조정 시즌에 5개 안팎의 건설사가 퇴출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돌았으나 최근에는 워크아웃 9곳, 법정관리 7곳 등 16개 건설사가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이런 퇴출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업체마다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눈물의 세일'에 나서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에는 크게 미흡한 상황이다. 김현아 건설사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회복이 더딘 가운데 PF 대출 만기 연장까지 거부당하면서 업계가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법정관리뿐"이라며 "공공공사를 조기집행해 건설사의 유동성에 숨통을 틔워주고 프라이머리 유동화증권(CBO) 발행과 공사 브리지론을 연장 또는 지원요건 등을 완화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