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 한국어 교육기관 철수

세계 최초로 한글을 공식 문자로 도입했던 인도네시아 소수민족 찌아찌아족(族)의 바우바우시(市)에서 한국어 교육기관과 교사가 모두 철수한 것으로 8일 확인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경북대 등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州) 부톤섬 바우바우시에서 운영 중이던 한국어 교육기관 '세종학당'이 지난 8월31일 철수했다.

관련기사



세종학당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어세계화재단이 세계 각지에 설립하는 한국어 교육기관이다. 바우바우시의 경우 올해 1월 30일 경북대와 인도네시아 무함마디아 부톤대 협력으로 세종학당이 개원했다. 하지만 운영 과정에서 재정난에 시달린데다 바우바우시와 운영기관 간 오해로 운영 7개월 만에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유일의 한국인 교사 정덕영(51)씨도 학교 철수에 따라 한국으로 돌아왔다.

이에 따라 한글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손꼽힌 찌아찌아족 대상 한글 보급활동이 중단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문화부는 바우바우시에 세종학당을 맡을 다른 대학을 찾아 운영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찌아찌아족은 독자적 언어는 있지만 문자가 없어 고유어를 잃을 처지에 놓였다가 2009년 훈민정음학회의 건의로 한글을 표기 문자로 도입하고 학회가 만든 교과서를 써왔다.


권대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