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미래에셋생명 '제식구 밀어주기'

주식 직접투자분 대부분 미래에셋證에<br>"과다편입…보험 가입자에 불리할 수도"

미래에셋생명이 주식투자를 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과다 편입, ‘제 식구 밀어주기’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미래에셋생명은 미래에셋증권이 지난 2월15일 상장한 이후 458억여원어치를 매입, 2.97%(80만주)의 지분을 확보하고 있다. 평균 매입 단가는 주당 6만633원으로 7일 종가(5만9,800원)보다 높다. 미래에셋생명은 일반계정(자기자본+확정금리형 보험상품)에서 투자자금을 집행하는데, 현재 직접투자 종목은 미래에셋증권 뿐이다. 또 간접투자분을 합쳐도 미래에셋증권의 투자비중은 전체의 3분의1에 해당돼 과다편입이라는 지적이다. 미래에셋생명은 3월말 기준 일반계정(4조305억)에서 1,783억을 주식에 직간접투자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직접투자가 478억원이고 나머지는 자산운용사에 위탁 투자하고 있다. 한 전문가는 “보험사가 일반계정 자산을 잘못 운용하면 가입자들에게 배당이나 확장이자 면에서 혜택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며 “미래에셋증권의 전망이 좋다고 해도 분산투자 차원에서 포트폴리오를 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미래에셋생명은 전체적으로 봤을 때 분산투자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래에셋생명의 한 관계자는 “미래에셋증권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 투자에 나선 것”이라며 “현재 자산운용사를 통한 간접주식투자까지 합치면 분산투자가 이뤄지고 있고, 앞으로 직접투자 종목도 다양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