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국내경제] 물가상승속 지난해 가계동향 주목

인플레이션이 두려운 가장 큰 이유는 실질소득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봉급생활자들의 월급이 그대로라도(혹여 다소 오르더라도) 물가상승률이 임금상승률을 앞지르면 결국 실질소득은 줄어들 수 밖에 없다.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가 사용한 각종 경기부양책은 결국 자산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에 따른 소득증가 혜택은 자산을 많이 보유한 부유층에게 주로 돌아간다. 그러나 유동성 팽창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그리고 그에 따른 물가상승의 폐해는 서민들에게는 '생존의 압박'으로 다가온다. 경제위기 이후 양극화가 심해지는 이유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하는 지난해 4ㆍ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은 각 계층별 소득과 지출수준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어떻게 변했는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통계다. 지난해 6.1% 경제성장에 따른 과실이 각 계층에 어떻게 돌아갔는지, 그에 따른 소득배분이 어떻게 진행됐는지가 관심사다. 단순히 소득과 지출이 얼마나 늘어났는지를 넘어서, 경제성장과 물가상승에 맞물려 소득계층별 소득ㆍ지출 증가율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살펴보면 금융위기 이후 달라진 우리의 자화상을 체감할 수 있다. 부실 저축은행의 영업정지로 인한 예금인출 사태가 신뢰의 붕괴로 이어질까 우려된다. 지난 17일과 19일 총 6개 저축은행이 금융당국으로부터 영업정지 명령을 받으면서 '뱅크런 공포'가 온 나라를 휘감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앞으로 추가 영업정지는 없을 것으로 장담하지만 이미 양치기 소년이 된 지 오래. 추가 영업정지 조치가 나올 경우 특단의 당국 대책이 없는 상황에서 그 여파가 어디까지 미칠지 가늠조차 어렵다. 한국은행은 25일 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1월 국제수지를 각각 발표한다. BSI를 통해서는 기업들이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 압박을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를 살필 수 있다. 국게수지 지표는 우리나라가 그나마 선전하고 있는 수출 등 대외활동의 최근 성적표다.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는 이명박 대통령 취임 3주년을 맞아 24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글로벌코리아 2011' 국제회의를 개최한다. 동아시아의 부상과 향후 전망을 주제로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 전 말레이시아 총리, 구로다 하루히코 아시아개발은행(ADB) 총재 등 아시아권의 거물급 경제 관련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다. 기획재정부는 22일에 국고채 수급조절 개선방안, 25일에 국고채전문딜러제도 개편 추진방안을 각각 발표하고 국고채 유통 개선을 추진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